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벚꽃 대선' 현실성은?…"4월 26일 선거 유력"

<앵커>

앞서 보셨듯이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이 이정미 재판관 퇴임 일인 3월 13일 전에 탄핵심판 최종결론을 내야 한다고 밝히면서 대통령 선거는 언제 치러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정치부 한정원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헌법재판소 결정, 언제가 유력할 것 같습니까?

<기자>

박한철 소장이 3월 13일 전까지 해야 한다고 했죠.

재판 일정은 소장이 정하는 거거든요.

박 소장이 물러나더라도 후임 없이 대행 체제라서 이 일정이 바뀌진 않을 겁니다.

헌재의 결정일, 보통 목요일에 하거든요.

그래서 3월 9일까지는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3월 9일이다, 자 그러면 탄핵이 인용되면 곧바로 60일 뒤에 대선이 치워져야 하는 거고, 인용되자 마자 곧바로 대선 레이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봐야겠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공직선거법상 60일 이내에 선거를 치워야 합니다.

만약 3월 9일에 탄핵 결정이 내려졌다, 5월 8일까지 선거를 치뤄야 하는 겁니다.

<앵커>

언제가 유력한 겁니까?

<기자>

대선은 보통 수요일에 치릅니다.

수요일 일정표 보면, 5월 3일은 석가탄신일 공휴일이고, 사실상 가정의 달 연휴 주간이라서 투표율이 상당히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한 주 앞당겨 보면, 4월 26일이 유력하다는 말이 나옵니다.

<앵커>

꼭 앞당겨야 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다른 대안은 없습니까?

<기자>

만약 헌재가 일정이 늦어져서, 데드라인, 시한으로 정한 3월 13일에 결정을 내린다, 그렇다면 5월 10일, 그 다음 주죠.

유권자의 날이거든요.

이날 치를 수도 있습니다.

만약에 3월 9일에 결정이 내려졌을 경우, 4월 26일까지는 사실 50일이 채 못되거든요.

공식 선거운동 기간 23일 빼면 20여 일이 채 못돼서 선거 일정 진행하기 참 빡빡하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그리고 또 마지막 다른 가능성, 헌재가 탄핵을 기각한다면, 대선은 원래대로 12월에 치러집니다. 

<앵커>

물론 그렇겠죠. 그런데 어쨌든 박한철 헌재 소장의 뜻이 그대로 관철된다면, 이른바 벚꽃 대선이 치러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봐야겠네요.

<기자>

네, 벚꽃 대선, 정말 현실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