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위기의 클린턴…'최순실 게이트' 닮았나?

<앵커>

미국 ABC방송과 워싱턴포스트의 지지율 여론조사 결과입니다. 1주일 전 12%P였던 격차가 1%P 차로 바짝 좁혀졌습니다. 1주일 앞으로 다가온 미 대선판이 FBI의 이메일 재수사로 요동치고 있는데요, 이 논란의 중심에 클린턴과 20년 가까이 동고동락한 최측근 후마 애버딘이 있다는 점에서 최순실 사건과 닮은꼴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김우식 특파원입니다.

<기자>

FBI의 재수사는 클린턴의 문고리 권력으로 불리는 애버딘에서 비롯됐습니다.

애버딘의 전남편이 미성년자와 음란 메시지를 주고받은 이른바 '섹스팅'을 수사하는 도중, 함께 썼던 컴퓨터에서 클린턴의 이메일이 대거 발견된 것입니다.

애버딘은 1996년 대학생 시절 백악관 부속실 인턴으로 힐러리 클린턴과 인연을 맺습니다.

이후 상원의원, 국무장관 비서실을 거쳐 현재 선대위 부위원장으로, 일정을 잡고 연설문을 검토하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클린턴 스스로 또 하나의 딸이 있다면 애버딘이라고 말할 만큼 절대 신임하고 있어 더욱 충격이 큽니다.

[트럼프/美 공화당 대통령 후보 : 고마워 후마 애버딘, 잘했어.]

최측근의 컴퓨터에서 공적인 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클린턴과 박근혜 대통령 모두 무책임하게 공문서를 다뤘고, 수십 년간 알고 지낸 최측근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는 점, 두 측근 모두 연설문에 손을 댔다는 점도 유사합니다.

하지만 공적인 자리에서 검증을 받아가며 일해 온 애버딘과 달리 최순실은 장막 뒤 비선 실세로 권력을 휘둘렀다는 것은 두 사건의 분명한 차이점입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김형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