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진해운 법정관리 '초읽기'…부산항 비상

<앵커>

국내 1위이자 세계 7위 해운사인 한진해운이 이르면 오늘(31일) 법정관리를 신청할 걸로 보입니다. 이제 법원이 한진해운을 살릴지 청산할지 결정하게 되는데 회사가 문을 닫게 될 가능성이 커서 그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손승욱 기자입니다.

<기자>

한진해운 채권단은 단호했습니다.

추가로 돈을 투입하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겁니다.

회사를 살리려면 1조 3천억 원이 필요한데, 한진해운의 자구안은 이에 크게 못 미쳤기 때문입니다.

[이동걸/KDB산업은행 회장 : 대주주 및 오너로서 책임 있는 모습은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어 (한진해운의) 신규자금 지원요청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자금지원이 끊기면서 한진해운은 이르면 오늘 이사회를 열어 법정관리를 신청할 계획입니다.

법정관리가 신청되면 기업을 살리지, 아니면 청산할지 법원이 결정하게 됩니다.

[정용석/KDB산업은행 부행장 : 가능성을 놓고 본다면 정말 파산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됩니다.]

당장 부산항은 비상이 걸렸습니다.

전체 물동량의 9%를 차지했던 한진해운의 배들이 멈추면, 1천1백 명이 일자리를 잃고, 4천4백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거라며 지원을 호소했습니다.

[신재찬/부산항만물류협회 이사장 : 해운동맹(이탈)에 따른 환적 화물 감소 등 부산항에 엄청난 피해를 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선박 공급과잉 상황이어서 물류대란으로까지 번지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습니다.

또 '대마불사는 없다'는 구조조정의 단호한 원칙이 확인되면서 철강과 조선 등 공급과잉 산업의 구조조정 속도도 빨라질 전망입니다.

정부는 오늘 긴급 관계 장관회의를 열어 한진해운의 법정관리가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정밀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