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에 '사드 보복' 당할라…시험대 오른 한국 외교

<앵커>

중국은 연일 사드 배치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고 있습니다. 경제적 보복에 나설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분석인데, 앞으로 우리 외교가 풀어가야 할 숙제입니다.

문준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사드 레이더 탐지 범위엔 중국 산둥 반도 끝과 북중 접경지역 일부만 포함되지만, 중국은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루캉/중국 외교부 대변인 : 사드 배치는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수호하기 위한 노력과 반대로 가는 것입니다. 중국은 합리적 이익을 위해 단호하게 필요한 조치를 할 것입니다.]

미국 주도의 미사일 방어체계에 한국이 동참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중국이 한국 수출품에 대한 장벽을 강화하거나, 국내 금융시장에서 자본을 빼는 식으로 보복에 나설 수 있단 분석이 나왔습니다.

[유일호/경제부총리 : 비관세 장벽이 좀 더 강해진다든가, 이런 것들이 있을 수는 있다,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이런 것에 대해선 저희가 나름대로 생각을 하고 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또 중국이 대북제재 공조에서 이탈해,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로 '맞불'을 놓을 거란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이럴 경우, 한반도는 미·중이 충돌하는 신냉전의 최전선이 될 수 있습니다.

어느 때보다 신중한 외교적 접근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최근 미·중 간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한 남중국해 영유권 재판에 대해 우리 외교부가 "판결에 유의한다"는 중립적 입장을 내놓은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김근식/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한쪽으로 너무 급속하게 쏠린다든지, 상대방 편으로 오인되는 외교적 행보는 되도록 자제하고, 우리의 외교적 입지를 확대하는 그런 전략적 지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조만간 열리는 아셈과 ARF 같은 국제회의에서 우리 외교가 사드로 인한 한·중 간 갈등을 얼마나 완화시킬 수 있는지가 첫 시금석이 될 것 같습니다.

(영상취재 : 유동혁, 영상편집 : 정용화, CG : 박상만·홍성용)   

▶ 사드 '경북 성주' 확정…내년말 전 실전 운용
▶ 사드 시뮬레이션 해봤더니…평택은 방어권 밖
▶ 성주군민 상경 항의…軍 "주민 설득할 것"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