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저감장치 못 다는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유도

<앵커>

낡은 경유차 중에서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달지 못하는 차가 수도권에만 22만 대에 달합니다. 정부가 내일(3일) 발표할 미세먼지 대책에 이런 낡은 경유차의 조기 폐차를 유도하는 방안이 포함됩니다.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2001년식 경유 SUV의 가속 페달을 밟았더니 시커먼 매연이 뿜어져 나옵니다.

매연을 걸러주는 저감장치를 달 수도 없습니다.

[김정부/폐차장 직원 : 여기에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달렸어야 하는데, 이 차종은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개발이 안 돼서 저감장치를 못 달았습니다.]  

2005년 이전에 생산된 2.5톤 이상의 경유차는 수도권에만 약 45만 대 등록돼 있습니다.

이 가운데 개발된 제품이 없어서 배출가스 저감 장치 없이 달리는 차가 약 22만 대로 절반에 가깝습니다.

[이호근 교수/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 (노후 경유차는)질소산화물과 미세먼지가 6.25배, 10배 완화된 기준이었기 때문에 실제 배출량은 60배, 100배까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저감장치 없는 노후 경유차 통행이 제한돼 있는데, 장치 장착이 아예 불가능한 이 차들은 빠져 있습니다.

통행 제한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이렇게 오래된 데다, 배출가스 저감 장치마저도 달 수 없는 노후 경유차들이 더 이상 도로를 다니지 못하게 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조기 폐차시 지원해 주는 보조금을 올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일찍 폐차하도록 유도하는 이런 방안이 미세먼지 대책에 담길 전망입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낡은 경유차 통행 제한 지역을 경기와 인천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박정삼)   

▶ 혜택 줄여 경유차 감축…경유가 인상은 빠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