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방아쇠 잠금장치 직접 실험해보니…'있으나마나'

<앵커>

총기사고가 계속되자 경찰청이 방아쇠 잠금장치를 만들었지만, 일선 경찰마저도 이거 있으나 마나 하다고 말합니다. 실험 결과 장치가 있는 상태에서도 실탄이 바로 나갔습니다.

김관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2월 세종시에서 엽총에 맞은 3명이 숨졌고, 이틀 만에 경기도 화성시에서도 3명이 엽총에 희생됐습니다.

경찰은 지난해 말 방아쇠 잠금장치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사냥 철이 다가와 집 근처 경찰서에 보관하던 엽총을 찾아갈 때 방아쇠에 잠금장치를 단 뒤 수렵장 근처 경찰서에서 풀어주겠다는 내용입니다.

그사이에 다른 목적으로 엽총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과연 그럴까? 경찰이 사용하는 것과 똑같은 잠금장치로 실험을 해봤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실제로 이 장치가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탄을 넣고 방아쇠에 채워진 잠금장치를 당겼더니 굉음과 함께 실탄이 그대로 발사됩니다.

[엽사 : 그냥 폼으로 해놓은 것 같아요. 허술하게 돼 있는 상태죠.]

[총포상 : 총 종류가 수천 가지가 있는데, 그게 다 어떻게 맞아요. 안 맞지. 그러니까 (잠금장치가) 있으나 마나지.]

수렵장을 담당하는 경찰도 잠금장치에 회의적입니다.

[수렵장 관할 경찰관 : 저희도 다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경찰청이 그런 생각을 안 가지고 있으니까.]

총기 사고를 막아야 한다는 여론에 쫓겨 경찰이 땜질용, 전시행정용 대책을 내놓았다는 비판이 거셉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