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유 중단' 열쇠 쥐고도…中 "대화로" 주장

<앵커>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한미일의 제재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핵심 열쇠를 쥔 중국은 여전히 미온적입니다. 그래서 이번 역시 목소리만 높이고 실속없는 논의가 될 거란 우려가 벌써 나오고 있습니다.

김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북한의 대중국 의존도는 절대적입니다.

원유 같은 에너지의 92%를 중국에서 받고, 남북 교역을 제외한 수출입은 사실상 중국과의 교역뿐입니다.

중국이 원유 공급을 중단하면, 일주일 안에 민간 군사 할 것 없이 북한의 모든 수송이 멈춰 선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중국 다롄항을 폐쇄하는 것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북한 수출입 물류의 거의 유일한 이동 창구라서 그렇습니다.

여기에 단둥 국경까지 폐쇄하면 이미 국제 금융거래가 사실상 불가능한 북한이 현금 외화를 반입하는 길마저 막혀 버립니다.

결국 중국이 대북 제재에 진정성 있는 동참을 선택하는 게 관건이란 얘기입니다.

중국은 오늘(12일)도 대화론을 재확인했습니다.

[훙레이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급한 일은 각국이 함께 노력해 한반도 핵 문제를 대화·담판의 궤도로 되돌려 놓는 것이고….]

북한 체제가 유지되는 게 자신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한, 중국이 실질적 제재에 나설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김한권 / 국립외교원 교수 : (중국이 수단이) 없어서 안 쓴 게 아니라 쓰면 손해가 나기 때문에 (안 하는 거죠.) 북한에 대해 불만과 불신이 높지만 전략적으로 품고 있는 것입니다. 전략적 계산의 기본 틀이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입장을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이 북중 접경지역에서 대대적인 방사능 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북핵 불용' 원칙을 알리는 명분 쌓기에 불과한 걸로 보입니다.

(영상편집 : 박정삼) 

▶ 中, 대북제재 강경기류에 '신중론'…'한 눈 팔아선 안돼'
▶ 美 하원, 대북제재 강화법 금명 표결…'돈줄 조이기' 초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