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파트 관리 좌지우지…입주자 대표 뭐길래

<앵커>

그렇다면 아파트 입주자 대표는 어떤 권한이 있길래 이런 갈등이 끊이지 않는 걸까요.

계속해서 정성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입주자 대표를 보통 2년마다 주민이 직접 뽑는데도 누군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죠?

입주자 대표는 별도의 월급은 없고, 활동비, 회의 참석비 정도를 받는데, 한달에 2~30만 원에서 많으면 5~60만 원 정도 받습니다.

이런 정도라면 그리 탐나는 자리는 아니겠죠?

하지만 입주자 대표는 아파트 공용부문 관리에 관한 일.

예를 들면 경비업체, 청소업체, 쓰레기 처리업체 등을 선정하는 일부터, 단지 내 어린이집 사업자를 선정할 때도 막강한 권한을 행사합니다.

물론 동대표 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지만, 입주자 대표가 사실상 좌지우지하는 게 현실입니다.

모든 입주자 대표가 그런 건 아니지만, 뒷돈 챙기려다 들통 나는 입주자 대표들이 끊이지 않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박동민/변호사 : 근거 법률이 마련되어 있는데, 규정에 미비한 점이 많고요, 외부에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기구들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자리인데 선거판이 조용할 리 있겠습니까.

후보들끼리 헐뜯고 비방하고, 또 선거에 나오는 인물들이 그 사람이 그 사람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문제는 말입니다.

상황이 이래도 주민들이 여전히 관심이 없다는 겁니다.

입주자 대표 선거 투표율이 겨우 10% 남짓인 걸 보면 자기들끼리 싸우든 말든 주민들이 별로 신경 안 쓴다는 얘기입니다.

주민들의 관심과 감시 없이 이런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까요?

(영상취재 : 박영일, 영상편집 : 이승렬)  

▶ '입주자 대표' 선거 갈등…주먹다짐 끝 참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