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권역별 비례 대표제'가 핵심…복잡한 셈법

<앵커>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야당이 도입하자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권역별 비례 대표제'입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또 나름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속사정이 있습니다. 여야 간의 밥그릇 지키기 셈법속에 결국 유권자는 없었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성현 기자입니다.

<기자>

새누리당은 인구 미달로 통폐합되는 농어촌 지역구를 최소화하려면 불가피하게 비례대표를 줄여야 한다는 겁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늘리지는 못할망정 최소한 현재의 비례대표 숫자는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겉으론 비례대표 몇 명 줄이냐가 중요해 보이지만, 사실은 새로운 제도인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이 핵심입니다.

중앙선관위가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는 전국을 대 여섯 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마다 정당이 얻은 표만큼 비례 의석을 가져가는 제도입니다.

중앙선관위는 지역구와 권역별 비례대표 비율을 2대 1로 하자고 제안한 바 있습니다.

이 비율을 적용해 중앙선관위가 19대 총선 득표율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152석이었던 새누리당의 의석수는 141석으로 줄어들면서 과반이 무너집니다.

새정치연합도 127석에서 117석으로 10석이 줄어들긴 하지만 옛 통합 진보당은 13석에서 34석으로 크게 늘어납니다.

범야권에 정국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게다가 지역별로 볼 때 야당은 영남에서 19석을 가져가는 반면 여당은 호남에서 4석만 가져가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야당이 권역별 비례 대표제 도입을 강하게 요구하지만, 여당이 절대로 수용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렇게 끌다가 올해 말까지도 선거구획정안을 결정 못 하면 내년 1월 1일부터는 현재 246개 선거구도 법적으로 무효화됩니다.

현역 의원이 아닌 정치신인들은 지역 사무소조차 내지 못한 채 정치활동 자체가 봉쇄되는 셈입니다.

(영상취재 : 이재영·주용진, 영상편집 : 최은진) 

▶ 선거구 협상 결렬…법정 시한 내 처리 무산
▶ [한수진의 SBS 전망대] 김무성·문재인, 선거구 획정 담판할 힘 없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