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거구 협상 결렬…법정 시한 내 처리 무산

<앵커>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 선거구 획정을 위한 여야 협상이 결렬돼 결국 법정 시한을 넘기게 됐습니다. 여야 간의 셈법이 달라도 너무 달라, 언제 합의가 이뤄질지도 기약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최고운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12일)로 사흘째, 선거구획정안을 결정하기 위해 네 차례나 만났지만, 여야 지도부는 끝내 협상 결렬을 선언했습니다.

추후 협상 일정도 잡지 않아 법정 시한인 내일까지 선거구획정안이 국회에서 처리될 수 없게 됐습니다.

[조원진/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 선거구획정과 관계없는 선거 제도 개선 문제를 들고 들어왔지 않습니까. 선거 시간이라든지 선거연령을 들고 들어왔기 때문에 협상이 꼬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춘석/새정치민주연합 원내수석부대표 : (야당은) 백기를 드는 수준까지 양보했는데 저쪽은 소위 칼을 꽂는 수준으로 나가기 때문에 협상을 진행할 의미가 없는 거죠.]

인구 감소로 통폐합이 예상됐던 농어촌 지역 의원들의 반발과 현재 54석인 비례대표제 의석수 조정문제라는 벽을 넘지 못한 겁니다.

[김무성/새누리당 대표 : 비례대표는 단 한 석도 줄일 수 없다는 대전제를 딱 못을 박기 때문에, 그러니까 현행대로 갈 수밖에 없고.]

하지만 선거구별 인구 편차가 3대 1로 돼 있는 현행 선거구는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지금의 선거구는 내년 1월 1일부터 무효가 됩니다.

과거처럼 선거 한두 달 전에 선거구 획정을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이에 따라 여야는 오늘 선거구 획정 기준을 결정하는 국회 정치개혁특위의 활동기간을 다음 달 15일까지로 한 달 연장했습니다.

다음 달 15일, 늦어도 올해 마지막 날을 국회 처리시한으로 정해놓고서 벼랑 끝 협상을 벌여 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영상취재 : 주용진, 영상편집 : 박선수)   

▶ 김무성 "선거구획정 끝내 합의 안되면 현행체제 불가피"
▶ [한수진의 SBS 전망대] 김무성·문재인, 선거구 획정 담판할 힘 없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