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짜 티켓에도 수수료 횡포…누굴 위한 '1+1'?

<앵커>

공연 티켓 한 장을 사면 한 장을 공짜로 주는 '1+1' 사업이란 걸 정부가 진행하고 있습니다. 메르스 사태로 타격을 입은 공연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300억 원을 들였지만 이중 상당액이 엉뚱한 곳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곽상은 기자입니다.

<기자>

1+1 티켓은 현재 인터파크를 통해서만 살 수 있습니다.

정부가 독점 사업권을 준 겁니다.

[문화예술위원회 1+1 티켓사업 담당자 : 많은 관객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접근성같은 것들을 정성적으로 평가를 해서 (사업자를 선정했습니다.)]

사업 시행 3주 만에 10만 장 넘는 티켓이 팔렸고, 이 중 절반가량은 신규 고객이었습니다.

인터파크로서는 신규고객 확보와 수수료 수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셈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인터파크가 제값 주고 사는 티켓 외에 공짜 티켓에 대해서도 장당 990원에서 1485원까지 판매 대행료를 거둬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공연업계 지원금 300억 원 중 10억 원 안팎이 인터파크 몫으로 들어가는 셈입니다.

[공연업계 관계자 : 한 달에 50만 원, 100만 원이 아쉬운 공연사도 많은 데, 독점적 사업자의 횡포 같은 느낌을 지울 수가 없는 거죠.]

큰 비용이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한 것도 아닌데, 공짜 티켓에까지 대행료를 받는 건 너무한 것 아니냐는 주장입니다.

[윤관석/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국회 교육문화위 : 거대한 예매 대행사가 수수료를 제멋대로 부과하는 것은 (영세 공연업계 지원 사업의) 애초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겁니다.]

[인터파크 관계자 : 저희도 내부에서 이 사업을 위해 시스템 구축비용이나 운영비가 들어가고 있거든요.]  

영세 공연업계 지원 예산이 본래 취지대로 쓰일 수 있도록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