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거기 가지 마세요"…루머 양산하는 병원명 '비공개'

<앵커>

이렇게 불안감이 커지면서 '메르스 환자가 거쳐간 병원이 어디다', '어느 지역이다' 이렇게 확인되지 않은 정보도 SNS를 통해 널리 퍼지고 있습니다. 이러자 차라리 병원을 공개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 보건당국은 괜한 오해를 살 수 있고  해당 병원의 의료진과 환자들이 동요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성엽 기자입니다.

<기자>

이 종합병원 응급실은 지난주까지 환자로 북적였지만, 지금은 텅 비었습니다.

지난 주말 의심환자가 다녀간 사실이 SNS에서 퍼진 뒤부터 환자들의 발길이 뚝 끊어진 겁니다.

하지만, 의심환자는 이튿날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습니다.

[정봉섭/병원장 : 유언비어가 섞이면서 매일 예약 수술 취소도 20% 외래도 20%도 격감했고요.]

환자가 거쳐 간 병원은 물론 아무 관련없는 병원 이름까지 SNS에서 급속이 퍼지면서 피해를 보는 병원이 나오고 있는 겁니다.

시민단체와 야권은 국민의 알권리와 불필요한 불안을 막기 위해 병원 정보 공개를 요구했습니다.

[유지현 위원장/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  공개해서 이미 언제 다녀갔고, 이런 조치가 끝났고, 메르스는 접촉성이라 위험이 없다고 공개해주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민간병원 비율이 90%가 넘는 상황에서 병원명을 공개하면 환자 진료나 격리가 불가능할 수 있다며 이를 일축했습니다.

[권준욱/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 불합리한 불안정과 공포를 야기시키고 무엇보다도, 해당 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야 할 많은, 심지어 중증환자에게까지도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런 가운데 여당 일부에서도 비공개 방침을 재검토할 것을 정부에 요구해 방침에 변화가 있을지 주목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