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울증·관절염, 노인 운전자 운전 사고 높인다

<앵커>

지난 10년 동안 전체 교통사고는 줄었는데, 65세 이상 노인 운전 교통사고는 4배 넘게 늘었습니다. 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 즉 교통사고 치사율도 두 배 더 높습니다. 그러나 고령이라는 이유만으로 운전할 권리를 제한할 수 없어서 여러 나라가 고심하고 있는데요, 대책에 참고할 국내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노인이 운전하는 자동차가 사거리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빨간 불에도 그대로 좌회전을 합니다.

신호등을 보지 못한 겁니다.

건널목을 건너는 소녀를 그대로 치고 맙니다.

외국에서 급증하는 노인 운전자 교통사고가 주요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CCTV 속 90대 노인은 주차하다가 접촉 사고를 낸 뒤, 당황해 잇따라 열 대의 차량과 부딪힙니다.

그러나 나이가 많다고 꼭 운전 능력이 떨어진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올해 69세인 이춘옥 할머니는 젊을 때와 변함없는 운전 실력을 자랑합니다.

[이춘옥/69세, 대구광역시 : 평상시에는 만날 운전하고 다녀요. (차선 바꾸는 게 어렵진 않으세요?) 그런 것도 괜찮아요. 원래 이렇게 (운전을) 했어요.]

개인차가 워낙 크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노인을 어떻게 구분하느냐가 학계의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치매 초기 증세가 있으면 5년 이내에 교통사고를 낼 위험도가 2배 정도 높아진다는 사실은 외국 연구에서 밝혀졌습니다.

치매 외에 다른 원인도 있다는 것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습니다.

바로 우울증과 관절염인데요.

국내 공동 연구팀이 노인 21만 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통사고 위험도가 각각 80%, 70% 정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울증이 심하면 뇌의 상황 대처능력이 떨어지고 관절염의 통증은 팔과 다리의 운동 반응속도를 느리게 하기 때문입니다.

[백종우/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신호를 인지하고 거기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려지고요. 신호가 빨간 불이다 여기서 멈춰야겠다는 것을 판단하는 판단력에 문제가….]

노인의 운전권을 보장하면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데 이번 연구가 유용하게 쓰일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최혜영, 화면제공 : 경찰청)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