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美 "사드, 동맹국들도 비용을 분담해야" 강조

<앵커>

한반도에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드'를 도입하는 문제를 놓고 미국이 동맹국들도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 육군 미사일 방위사령부의 사령관을 워싱턴 이성철 특파원이 만났습니다.

<기자>

지난해 3월 북한은 사정거리 1천500km 노동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종말 단계 고고도 미사일, 사드를 한반도에 도입해야 한다는 미국의 주장이 본격화됐습니다.

사정 거리가 40km에 불과한 기존 미사일로는 북한에 대응할 수 없는 만큼 레이더의 탐지 거리가 1천 km에 달하고 150km 고도에서 요격할 수 있는 사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드의 고성능 레이더 배치에 대해 중국은 강하게 반발하고, 엄청난 비용에 국내에서는 필요성 논란도 거셉니다.

미 육군 미사일방어 사령관은 SBS와의 인터뷰에서 미군 사드 전력을 한반도에 고정 배치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데이비드 만/미 육군 미사일방어 사령관 : 세계 어느 한 지역에 갖다 놓을 경우, 적시에 이를 다른 곳으로 이동 배치하기가 어려워집니다.]

전력화한 3개 포대 가운데 하와이와 괌에 하나씩 전진 배치했을 뿐이며, 앞으로 확충할 4개 포대도 미 본토 방위를 위해 남겨 둬야 한다는 것입니다.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한다면 동맹국의 기여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이비드 만/미 육군 미사일방어 사령관 : 사드 전력을 본국으로 재배치해야 할 경우에 대비해 동맹국 기여분을 활용하는 방식을 강력히 선호하는 것입니다.]

아랍에미리트와 카타르, 사우디가 각각 1조 2천억 원에서 7조 원을 들여 도입하고, 미군이 통합 조정하는 중동 모델을 한미일 3각 MD 협력에도 적용한다는 의도입니다.

우리 정부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 사드를 구입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미국의 사드를 이동 배치해도 비용 분담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