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욕에 도전장 낸 지 6년…갈 길 먼 '한국 패션'

<앵커>

패션의 본고장 뉴욕에 한국 디자이너들이 도전장을 낸 지 이제 6년째가 됐습니다. 우리나라도 샤넬과 루이뷔통 같은 세계적 패션 브랜드를 키워낼 수 있을까요?

뉴욕 박진호 특파원입니다.

<기자>

전 세계에서 25만 명이 찾는다는 뉴욕의 패션위크.

지난 2010년부터 도전장을 낸 한국의 젊은 디자이너들도 11번째 무대를 선보였습니다.

한국 중견 디자이너들의 새 옷들은 매년 봄, 가을마다 크게 주목받습니다.

[손정완/한국 패션디자이너 : 점점 더 좋아지고 있죠. 팬들도 많이 생기고 저를 좋아하는 전문 블로거도 생기고.]

하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좀처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때 의류수출 강국이던 한국은 명품 브랜드 수입에, 중저가 시장에서도 H&M, 유니클로 같은 외국 상표에 밀리며, 지난해 관련 적자가 5조 원을 넘었습니다.

미 시장 점유율도 0.4%로 추락했습니다.

루이뷔통, 샤넬 같은 세계 브랜드들은 지난해 미국에서만 80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습니다.

뉴욕의 패션 전문가들은 미국 시장에선 백화점 매장 같은 안정된 유통망의 확보가 성공의 관건이라고 조언합니다.

[폴리 킹/패션의류 유통 전문가 : 일단 제품이 좋고 적합한 소비자들에게 제때에 공급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패션쇼가 전부는 아닙니다.]

패션 본고장 뉴욕을 야심차게 두드린 지난 6년 이었지만, 아직은 절반의 성공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입니다.

(영상취재 : 이도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