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유산이라도 주고파" 이산가족의 마지막 소원

<앵커>

북에 있는 가족을 만나지는 못해도 유산이라도 물려주고 싶다는 이산가족이 많습니다. 이분들의 마지막 소원, 풀어 드릴 방법은 없을까요.

이산가족 문제를 돌아보는 세 번째 순서, 문준모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흥남 철수 당시 혈혈단신으로 내려와, 미국 유학을 거쳐 명문대 교수로 퇴임한 허갑섬 교수에게는 마지막 소원이 하나 있습니다.

1997년에 받은 단 한 통의 편지를 마지막으로 연락이 끊긴 오빠네 가족에게 재산을 남기는 겁니다.

[허갑섬 전 교수/함경남도 단천 출신 : 모아놓은 돈이 많아서가 아니라, 조금이라도 (유산을) 보내준다면 그쪽에서는 얼마나 요긴하게 쓰겠어요.]

이런 바람을 가진 이산가족들이 적지 않다고도 했습니다.

[어렵게 사시는 데도 나중에 돈이 좀 남은 게 있으면 유언에다 '북으로 보내달라'고 공증하시는 분들도 있다고 그랬거든요.]  

최근에는 북측 가족들이 적극적으로 재산 상속을 요구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산가족이 친자 확인 소송에서 승소하거나, 탈북민이 뒤늦게 상속권을 인정받는 일도 있었습니다.

이런 분쟁 가능성을 줄이고, 이산가족의 숙원을 풀어 주기 위해서는 '신탁청'을 설립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상속인 사망 이후에도 남북 이산가족 간 상속이 가능해지는 시점까지 정부가 재산을 관리해주고, 상속 가능 시점 이전에라도 경조사비 같은 소액은 지원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겁니다.

[최금숙/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축의금이라든가 부의금이라든가 이런 거를 보내자, 친족의 정을 돈독히 하면서 통일을 향해서 진짜 정상화가 되는 거죠.]  

분단 70년을 맞아 이산 상봉 정례화, 편지 교류 등과 함께 금전적인 교류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최진화) 


▶ "죽더라도 이산가족 찾겠다" 유전자 채취 봇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