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범죄의 온상' 서울 전역 빈집·폐가 일제 수색

<앵커>

도심 곳곳에 방치된 빈집과 폐가는 관리가 허술해서 범죄와 비행의 온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주민들의 치안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경찰이 서울시 전역의 빈집과 폐가에 대해 수색을 벌였습니다.

소환욱 기자입니다.

<기자>

빈집이나 폐가는 청소년들의 비행장소로 사용되거나, 범죄자들의 도피 장소로 이용되기도 합니다.

2010년 여중생 살인사건의 범인 김길태의 경우 도피기간 동안 폐가에서 생활했습니다.

심지어 이렇게 사람이 살고 있는 주택가 한가운데에도 폐가가 있습니다.

이런 폐가는 범죄의 온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민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엄종연/빈집·폐가 인근 주민 : 여기 와서 담배꽁초 버리고 가고 쓰레기 버리고 가고 떼거리로 몰려와서 뭐라고 할 수도 없고 그런 적이 많이 있죠.]

서울에만 이런 빈집과 폐가는 1만 4천여 곳에 이릅니다.

경찰은 빈집과 폐가가 밀집해 있는 지역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강일권/서울 종암경찰서 생활안전과장 : 공·폐가가 주거지 중심으로 해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의 체감 치안을 떨어트리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수색을 마친 빈집과 폐가에는 출입금지 표시를 하고, 철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