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완공된 지 10년 다 되도록 화재점검 없었다, 왜?

<앵커>

사고가 난 펜션은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소방 점검 대상에서도 빠져 있었습니다. 불이 난 바비큐장 역시 나무와 억새, 또 스티로폼으로 지어져서 화재에 취약했지만 한 번도 소방 점검을 받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이런 곳이 여기뿐만이 아니라는 겁니다.

박아름 기자가 긴급점검했습니다.

<기자>

불이 난 펜션은 건물 열 동으로 구성된 곳입니다.

연 면적 415㎡로 지난 2005년 완공됐습니다.

그런데 완공된 지 10년이 다 되도록 정기 소방 점검은 없었습니다.

소방법상 연면적 1,000㎡ 이하 건물은 소방 점검을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담양군청 담당 공무원 : (사고 난 펜션이 안전 점검 대상이 아닙니까?) 아닙니다. 우리 안전 점검 대상에 해당하는 면적이 안 되거든요.]

숙소 건물보다 더 화재에 취약한 것은 별도로 지어진 바비큐장입니다.

불이 난 바비큐장은 취사장과 연결돼 있습니다.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화재 위험이 따를 수밖에 없는데 제대로 된 소방시설이나 장비는 갖춰지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바닥은 나무, 벽은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졌고 천장은 억새로 장식됐습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바비큐장 역시 단 한 번도 화재안전점검을 받지 않았습니다.

바비큐장은 건축물대장에 등록조차 돼 있지 않았습니다.

인근에 있는 다른 펜션 바비큐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옆면부터 지붕까지 모두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졌습니다.

고기를 구운 흔적은 보이지만 건물 안 어디에도 소화기는 보이지 않습니다.

야외 바비큐장 가운데도 불에 타기 쉬운 나무 자재나 샌드위치 패널로 만든 임시 구조물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현성호 교수/경민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 바비큐장이라고 하면 불을 사용하고 화기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가연물질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그런데 소형 펜션은 대부분 숙박업으로 허가를 받아 운영하기 때문에 현행법 안에서는 침구 상태나 확인하는 위생점검 이외에 관리감독을 할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최근 급증하고 있는 소형 펜션 업체들이 안전 사각 지대에 빠지지 않도록 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정상보, 영상편집 : 김경연)

◀ [담양 펜션 화재 사고] 관련뉴스 보기 ▶

[안타까운 사고 당시 현장 상황]

* 전남 담양 펜션에서 화재…4명 사망·6명 부상

* [현장포토] 화재 현장에서 오열하는 피해 학생 가족

* [현장포토] 완전히 타버린 현장 수색하는 소방대원들

[참담한 피해자·목격자 진술]

* 담양 펜션 화재…"바비큐장서 '펑' 소리 들렸다"

* 큰 펜션에 소화기 한대뿐…그마저 30초 작동 후 꺼져

[허술했던 안전관리]

* 담양 펜션 화재 취약한 건물구조 등이 인명피해 키워

* '화약고'같은 펜션 바비큐장…안전점검은 '전무'

* 화재 취약한 목조 건물·지붕엔 갈대…인명 피해 키워

[기타 현장 상황 · 사고 수습 상황]

* 불난 담양 펜션 실질적 주인은 현직 구의원

* 이낙연 전남지사 "숙박시설 화재 점검 강화"

* [현장 포토] 펜션 바비큐장 화재사건 현장 검증

* 담양 펜션 화재에 재학생 4명 사상…대학 측 '당혹'

* 동신대, 담양 화재사고 비상대책본부 구성

* 담양화재사건, 알맹이 빠진 경찰 브리핑에 유족 분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