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말뿐인 에볼라 격리시설…곳곳 허점투성이 대책

<앵커>

이런 우려 속에 부산시가 에볼라 대책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허점투성이 대책인데다가 발병국에 보낸 참가 제한 요청 답변도 제대로 듣지 못한 상태입니다.

계속해서 KNN 송준우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시가 시 차원의 에볼라 대응책을 발표했습니다.

iTU 전권회의 총회 주 무대인 벡스코에 발열감지기 5대를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3개국 참가자에 대해서는 매일 숙소를 방문해 체온 등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환자 발생에 대비해 부산지역 2개 종합병원에 6개의 격리 병상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송근일/부산시 복지건강국장 : 감시장비하고 격리 병동하고 함께 갖춘 곳이 지금 2곳이 있습니다. 2곳 중에서 숙소와 가까운 쪽을 감안해서 우선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번 대책은 곳곳이 허점투성이입니다.

병상 수가 턱없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완벽한 격리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임시로 마련한 격리 병상은 기존의 중환자실과 겨우 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습니다.

[○○ 병원 관계자 : 격리 병상이기 때문에 지금 현재 갑자기 추가로 확보할 수는 없는 병상입니다.]

정부는 지난 7일 서아프리카 에볼라 발병 6개국 가운데 질병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3개국의 부산 ITU 전권회의 참가를 자제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대회를 일주일 앞둔 지금까지도 제대로 된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습니다.

3주간의 대회 기간 중 한 명이라도 에볼라 출혈열이 발병했을 경우 최소한 국내전파는 차단한다 하더라도 부산 관광 경제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에 큰 타격이 우려됩니다.  

▶에볼라 환자 치료하던 간호사도 감염…불안 확산

▶외국 손님 3천 명 몰려오는데…입국자 관리 비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