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약학정보원, '환자 정보' 팔아넘겼다

<앵커>

엄청난 분량의 환자 의료 정보가 불법 거래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환자 동의 없이 개인의 질병 정보가 수집된 겁니다. 검찰이 전격 압수수색에 들어갔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재단법인 약학정보원에 검찰 수사관이 들이닥쳤습니다.

[약학정보원 관계자 : 저희도 내용은 잘 모르는데, 어설프게 (보도) 나가면 다 법적 조치 할 거니까 그렇게 아세요.]

민간단체인 약학정보원이 개인 의료정보를 광범위하게 수집해 온 정황을 포착하고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겁니다.

검찰이 수사 중인 서류에는 병원이나 약국 정보는 물론 환자의 이름과 진단명, 그리고 처방받은 약물까지 고스란히 적혀 있습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불법 수집된 의료 정보가 확인된 것만 300만 건입니다.

확인 중인 정보까지 더할 경우 수억 건에 이를 걸로 추정됩니다.

어떻게 이 많은 정보를 수집했을까?

환자가 처방전을 약국에 가져가면 약사는 처방전 내용을 전산 시스템에 저장합니다.

이 정보는 조제료나 보험 청구액 산정을 위해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으로 보내집니다.

여기까진 정상이지만, 문제는 같은 정보가 약사회와 제약협회 등이 출자한 약학정보원에 전달된다는 것입니다.

약학정보원이 약국에 전산망을 설치해주면서 의료정보를 은밀하게 모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놓은 겁니다.

민간이 개인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건 명백한 불법입니다.

약학정보원은 이렇게 수집한 개인 의료 정보를 IMS health korea라는 다국적 정보 회사에 넘겼습니다.

또, 다국적 정보 회사는 이 정보를 가공해 국내 수십 개 제약회사에 넘겼으며, 이 과정에서 돈 거래 정황을 포착하고 검찰이 수사 중입니다.

[제약회사 관계자 : (제약회사는 어떤 용도로 활용합니까?) 회사 대부분이 거의 시장 경향이나 제품 추이를 한번 보려고 사게 됩니다. 우리 제품뿐만이 아니라 다른 제품들도 경쟁 관계에 있는 제품들이 얼마나 팔리고 우리 것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비율을 가졌는지 그런 것들을 확인하게 됩니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는 불법으로 개인 의료 정보를 수집하고 거래해온 재단법인 약학정보원과 IMS health Korea 대해 전격 압수 수색을 실시했습니다.

(영상취재 : 노인식, 영상편집 : 김경연, VJ : 김형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