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간암에 취약한 국가 암 검진…효율 높이려면?

<앵커>

우리나라에서 유독 간암은 뒤늦게 발견되서 손을 쓰기에는 너무 늦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조기 검진이 중요한데, 국가 암 검진 제도가 이걸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보완이 시급합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 남성은 목 부상 때문에 병원에 갔다가 우연히 간암 초기임을 발견했습니다.

[간암 환자 : 사고가 나서 CT 찍으려고 (병원) 내려가다가 그 이튿날 MRI 찍어보자고 해서 MRI 찍고, 간이 이상하다고…]

이렇게 조기에 간암을 발견하면 완치율이 크게 높아지지만, 국내 간암 조기발견율은 10.6%, 위암 85%, 대장암 50%에 비해 크게 낮고, 일본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입니다.

뒤늦은 발견으로 간암 사망률은 매우 높습니다.

암 조기발견에는 국가 암 검진 제도가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유독 간암에는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국가 암 검진 제도는 간암 위험성이 높은 만성 B형, C형 간염 환자 그리고 간 경변 환자를 선정, 개인에게 통보해 검진을 받도록 합니다.

그런데 최근 한 대학병원이 검진 대상자 600여 명을 조사해봤더니 예상 외로 절반 가까이가 간이 건강한 사람들이었습니다.

대상자 선정방법에 문제가 있었던 것입니다.

과음으로 간 수치가 잠깐 올라가도 병원처방에선 간염 항목으로 자동분류 돼서 간암위험이 없는데도 검진 대상이 됩니다.

반면, 이 간 MRI의 사례자처럼 만성 B형 간염으로 간암 위험이 높아도 최근 2년 내 병원에 간 적이 없으면 대상이 안됩니다.

현행 기준은 2년 내 병원 기록만 보기 때문입니다.

[심재준/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일단 간검사를 통해서 B형 간염, C형 간염, 간경화 여부를 일단 확인하고, 그 확인과정을 철저하게 검증을 통해서 간암 검진 대상자가 되는 환자들을 잘 선별해서 찾아내는 것이  일단 1차적으로 필요할 것 같고요.]

동시에 가족력이 있는 사람을 선별해 검진대상에 포함시키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렇게 제도개선만 해도 해마다 1만 1천여 명에 달하는 간암 사망자의 숫자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영상취재 : 노인식·유동혁,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