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J 정부시절의 불법 도청, 누가 지시했을까?

<8뉴스>

<앵커>

이런 도청은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정보기관의 말단에서, 자체적으로 이뤄졌다는 것이 국정원의 설명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누가 지시한 것인지, 또 도청 내용은 누구에게 보고했다는 것인지, 궁금한 점이 한 두 가지가 아닙니다.

진송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취임후 안기부를 국가정보원으로 명칭까지 바꿔가면서 불법 도청의 근절을 여러차례 지시했습니다.

[김대중/전 대통령(99년 9월 국무회의) : 국민의 정부가 존속하는 한 결단코 도청이나 감청의 불법적인 행동은 용납할 수 없고 그런 일은 엄중히 다스려야 합니다.]

실제로 이종찬 초대 국정원장이 정치관련 보고서를 올렸다가 호된 질책을 들었던 것은 잘 알려진 일화로 입에 오르내리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국정원은 과거의 어두운 유산을 끊지 못했을까?

국정원은 당시 고위간부들이 도청이 정보획득의 가장 유용한 수단이라는 유혹을 버리지 못한 점과 직원들 역시 정보기관은 원래 그런 것이라는 잘못된 인식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누가 도청 지시를 내렸고, 또 어느선까지 보고가 됐는지에 대해선 국정원은 '알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김만복/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 : 자료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가 극소수였습니다. 그 때 자료도 없고, 또 아는 사람이 없어서 (보고 라인에 대해선) 지금 알 수가 없습니다.]

또 김 전 대통령이 보고를 받았는 지에 대해 김승규 국정원장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만 짧게 말했습니다.

김 전 대통령 비서관인 최경환씨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의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말하고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은 어떤 불법활동을 보고받은 바 없으며 앞으로 조사활동을 지켜보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