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최소 6만 5천 명 개인정보 유출"…카카오에 151억 과징금

<앵커>

카카오가 개인정보 보호법을 어긴 걸로 보고 정부가 제재를 추진한다는 소식, 저희가 얼마 전에 전해 드렸습니다. 정부가 국내 기업으론 역대 가장 많은 151억 원의 과징금을 카카오에 부과했습니다.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오픈채팅방에서 6만 5천 건이 넘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보고…"

개인정보 보호위원회는 카카오가 이용자 식별 장치를 허술하게 설계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해커는 카카오톡 친구 추가 기능을 이용해 일반채팅 이용자의 회원일련번호와 이름, 전화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했고, 오픈채팅방에 침투해서는 이용자 임시 ID에서 회원일련번호를 뽑아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두 정보를 결합하면 오픈채팅방 익명 이용자의 이름이나 닉네임, 전화번호 등을 알 수 있었고, 이걸 판매했다는 겁니다.

오픈채팅방의 임시 ID 구조가 단순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남석/개인정보위원회 조사조정국장 : 회원일련번호 앞에 일부 숫자만 이렇게 붙여 놓은 것이다 보니까, 오픈채팅방 임시 ID를 알게 되면 일반 채팅에서 쓰는 회원 일련번호를 쉽게 알 수 있었던 거고요.]

최소 6만 5천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고, 스팸 문자나 피싱 등 2차 피해로 이어졌다고 개인정보위는 설명했습니다.

[오픈채팅방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 : (문자로) 'ㅇㅇㅇ님, 신청하신 종목 자료 공개드립니다.'라고…. 번호를 차단해도 다른 번호로 계속 오니까.]

개인정보위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카카오톡 이용자 정보 추출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계속 나왔지만, 카카오가 개선 조치를 소홀히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151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는데, 국내 기업에 부과된 걸로는 역대 최대입니다.

카카오는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회원일련번호와 임시 ID는 숫자로 구성된 문자일 뿐 그 자체로는 개인정보가 아니라며, 다양한 조치와 대응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입장이 크게 엇갈리는 만큼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