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은 '빙산의 일각'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은 '빙산의 일각'
폭스바겐 사태와 같은 배출가스 검사시 데이터 조작은 자동차 업계 전반에 널리 퍼져 있는 수십 년 된 관행으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미국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

1970년대 미국에서 자동차 배출가스에 대한 규제가 시작된 이후, 배출가스를 줄이는 장치를 끄는 장치를 장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배출가스를 조작해 포드, 폭스바겐, 크라이슬러 등의 자동차 업체들이 벌금을 물었습니다.

미 환경보호청은 이런 눈속임 장치들을 전면 금지했지만, 이들 장치는 번성하고, 세련돼져 최근 폭스바겐의 디젤차량 1천100만대가 검사를 받는 데에 이르렀습니다.

연비와 관련한 눈속임도 자동차업계의 고질적인 관행입니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미국 법무부와 환경보호청에 차량 120만대의 연비를 과장한 사실이 발각돼 3억 달러의 벌금을 냈습니다.

이같이 자동차제조업체들이 상습적으로 규제를 우습게 여기고 경멸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규제를 위반했다고 CEO나 책임자가 구속되는 식의 형사상 처벌이 없어서 눈속임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습니다.

시민단체인 유럽 교통환경연맹의 조스 딩스 사무국장은 "폭스바겐의 사례는 빙산의 일각으로, 이런 상황이 폭스바겐에 국한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면서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검사결과치를 보면 그들도 역시 나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