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기준금리 1% 시대 월세시대 가속화…수익형 부동산 몸값 ↑

기준금리 1% 시대 월세시대 가속화…수익형 부동산 몸값 ↑
정부가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1% 대로 낮추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대표적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그동안 부동산 시장은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주택의 전세 물건이 월세나 보증부 월세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 지방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전세 품귀 현상이 심화되면서 전세가격은 집주인이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고공행진중이고, 이로 인해 일부 아파트는 전세가격이 매매가격에 육박하거나 오히려 웃도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이러한 '전세→월세'의 뜨거운 열기에 말 그대로 '기름을 붓는' 격입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기준금리가 1%대라는 것은 더이상 은행에 여윳돈을 넣어둘 이유가 없어졌다는 의미"라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 등 은행에 예치한 돈으로 살고 있는 이자생활자는 금리 인하가 달갑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은행 이자수입이 감소하면 주택을 구입해 월세 수입을 얻으려는 사람은 더욱 많아집니다.

은행 이자수입은 연 1∼2%대에 불과하지만 주택 월세는 5∼6%로 은행 이자보다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함 센터장은 "최근 주택 거래시장을 전세난에 따른 실수요자들이 이끌고 있지만 은퇴자 등을 중심으로 저금리를 견디다 못해 임대사업으로 월세 수익을 올리려는 사람들이 주택 구매에 가세한 영향도 있다"며 "앞으로 임대사업을 희망하는 사람이 늘면서 전세의 월세 전환이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고정적인 임대수입을 올릴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의 인기는 더욱 치솟을 전망입니다.

상가, 오피스텔 등이 대표적입니다.

최근 투자금이 많지 않은 사람은 택지지구내 공급되는 아파트 단지내 상가를, 자금 여력이 있는 여유계층은 강남권이나 홍대·이태원 등지의 근린 상가 구입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위례·마곡·화성 동탄2 등 최근 신도시와 택지지구 등에서 공급되는 일부 상가 입찰에 응찰자가 대거 몰리는 것은 물론 프리미엄까지 붙어 거래되고 있습니다.

최근 현대엔지니어링이 광교신도시에 공급한 오피스텔(172실)은 평균 청약률이 무려 422대 1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우리은행 안명숙 부동산팀장은 "주식시장은 변동성이 커 투자를 망설이는 사람들이 안정적인 임대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수익형 부동산 구매에 나설 수 있다"며 "은행 금리를 감안하면 연 5∼6%의 수익만 가능해도 매력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가격입니다.

국민은행 박합수 부동산팀장은 "수익형 부동산에 돈이 몰릴 수 있지만 상가는 최근 가격이 많이 올랐고 오피스텔은 공급이 많아 임대수익률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며 "관심은 있어도 쉽게 구입하긴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