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0'은 홀수일까, 짝수일까?…미국서 새삼 화제

'0'은 홀수일까, 짝수일까?…미국서 새삼 화제
'0'(zero)은 짝수인가 홀수인가 아니면 둘 다 아닌 것인가.

수학자들이 다소 난감해하는 이 문제가 미국 뉴욕에서 다시 한번 화제가 되고 있다.

허리케인 '샌디'로 1970년대 이래 최악의 '기름 대란'이 발생하면서 주유소 홀짝제를 시행한 것이 직접적인 계기다.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은 지난주 홀짝제를 발표하면서 "짝수 또는 '0'으로 끝나는 번호판의 차량은 토요일인 11월10일과 같은 짝수 날짜에만 기름을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홀수 또는 글자로 끝나는 번호판의 소유자들은 홀수 날짜에만 넣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도 홀짝제 정책을 발표했지만 수학계의 곤혹스런 입장을 감안했는지 '0'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하지 않았다.

따라서 블룸버그 시장이 '0'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수학자들을 적잖이 난처하게 만드는 일일 수도 있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서방권 수학자들에게 숫자 '0'을 어떻게 보느냐는 쉽지 않은 문제다.

중세 유럽인들이 아라비아 숫자를 받아들일 당시 서방권에는 `0'에 대한 개념을 나타낼 숫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수학계에서는 '0'을 특수하거나 이상한 숫자 정도로만 여기는 분위기다.

지난 한달 간 세계 각국의 네티즌들이 구글 검색창에 "'0'은 홀수인가 짝수인가"라는 질문을 6천회 이상 던졌다는 사실도 이런 현상을 반영한다.

뉴욕대 수학과의 조너선 굿맨 교수는 "'0'을 숫자로 여기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롭다"며 "'0'을 숫자로 보지 않았다면 홀짝에 대한 질문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시장이 굳이 '0'을 언급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고 한다.

뉴욕시장실 대변인은 "'0'이 혼란을 줄 소지가 있어서 그 부분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문제가 더는 논란거리가 못된다는 지적도 있다.

버나드칼리지 수학부의 월터 뉴만 학장은 "'0'을 2로 나누면 '0'이 될 뿐 비(非)자연수나 분수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0'은 짝수"라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