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민구 "한일군사정보협정, 국민동의 전제조건이라 말한적 없다"

한민구 "한일군사정보협정, 국민동의 전제조건이라 말한적 없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오늘(14일) 여론의 지지 없이 무리하게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을 추진한다는 지적에 대해 "국민동의가 전제조건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 장관은 오늘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일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해 여건이 성숙해야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던 정부 입장이 바뀌었느냐'는 질문에 "군사적 필요가 2번이고 국민적 동의가 1번이라고 말하지는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 장관은 협정 추진과 관련한 고려사항에 "군사적 필요성도 있고 여러 정치적 상황도 있고 일본과의 관계도 있는데 이 중에서 군은 군사적 필요성이 우선돼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한 장관은 지난달 14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을 추진하는 데 있어 여건의 성숙이 필요하다"고 했고, 국민의당 김동철 의원이 "국민적 동의가 있을 때 추진한다는 뜻이냐"고 재차 확인하자 "예. 많은 사람들이 지지한다든지 이런 것들이 있어야 될 것이라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최순실 사태에 영향을 주기 위한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문제제기에 대해 한 장관은 "최순실 사태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면서 "정치 상황은 정치 상황이고 안보적 필요성에 따라 추진해야 할 사항은 별도 문제라고 보고 추진한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한 장관은 '지금이라도 국민을 설득해 여론의 지지를 얻을 때까지 협의를 중단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중단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 우리가 생각한 방향이 있어 (추진을) 생각한 것 아니냐"고 밝혔습니다.

협정을 추진할 경우, 야당에서 해임건의안을 추진하겠다는 것에 대해서도 "어떤 일을 하든 그 결과에 대해 감수한다는 자세로 일하고 있다"고 말해 뜻을 바꾸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한일 양국은 오늘 오후 일본 도쿄에서 양국 간 직접적인 군사정보 공유를 위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에 가서명할 예정으로, 정부는 차관회의와 국무회의, 대통령 재가를 거쳐 이르면 이번 달 안에 협정을 체결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