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시 뉴스브리핑] 우병우 수석 아들 '꽃보직' 특혜…비결은 탁월한 '코너링'?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3시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3시 뉴스브리핑> 월~금 (15:00~16:30)
■ 진행 : 주영진 앵커
■ 대담 : 이재오 전 새누리당 의원, 유인태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원일희 선임기자

유인태 "대통령, 국회 깔봐..위로부터 질책 없어 코미디같은 상황 계속 벌어지는 것"
이재오 "우 수석, 권력 믿고 출석 않으면 야당 공세 심화되고 국회 점점 꼬일 것"

---------------------------------------------------------------------

▷ 주영진/앵커: 지금 백승석 경위의 답변. 상당히 자세하게 답변을 했어요. 그런데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앞으로 의경 지원자들은 밤새도록 코너링 연습하겠다고 이렇게 반응을 했습니다.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요새 짜증 많이 나는데 그래도 백 경위는 표창이라도 해야 될 것 같아요.

▷ 주영진/앵커: 왜 표창을 해야 됩니까?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람들을 많이 웃겼으니까. 

▷ 주영진/앵커: 답변이 어쨌든 간에 경찰에서 해당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아들의 보직 특혜 의혹과 관련해서 처음으로 구체적으로 나온 답변이에요.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디 웃찾사에서 한 번 발탁해보시죠. 

▷ 주영진/앵커: 유인태 의원님은 상당히 안 믿으시는 것 같은데 이재오 의원님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 이재오/前 새누리당 의원: 저 답변을 액면 그대로 해석을 하면 보직 특혜가 있었다는 거죠. 보직 특혜를 했는데 답변은 해야 되겠고 적당히 둘러댄다는 게 웃기는 소리를 한 거죠. 그러니까 보직 특혜는 확실히 있었다, 이 말이죠.

▷ 주영진/앵커: 답변 중에 보면 말이죠. 아버님이 뭐하시니? 물어봤더니 머뭇머뭇하다가 청와대 민정수석입니다, 라고 얘기해서 위에다 보고했더니 당시 서울경찰청 차장이 객관적으로 선발해라, 이렇게 또 답변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 대한 답변도 처음 나온 건데요. 어떻게 들으셨어요?

▶ 이재오/前 새누리당 의원: 그러니까 뭐 그냥 그렇게 답변 하는 거고 보직 특혜를 했는데 문제가 되니까 할 말은 궁하고 이리저리 그냥 둘러대는 거죠.

▷ 주영진/앵커: 우병우 민정수석 질문을 이렇게 2가지로 드려볼게요. 국정감사에 나와야 될까요? 나올 수 있을까요?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저렇게 의혹에 휩싸여있는데 그리고 저 청와대 있을 때도 부르면 나갔어요. 국회에 우리. 물론 정무수석은 물론 나가고 민정수석도 일반적으로 잘 안 나갔는데.

▷ 주영진/앵커: 참여정부 때 그런 적이 있습니까?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있어요. 있고 부르면 나가요. 나가는데 

▷ 주영진/앵커: 나가서 의원들의 질문 받고 답변도 했습니까?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답변하죠. 근데 이제 아까 백 경위의 답변도 그렇고 저는 이렇게 봅니다. 결국 대통령이 청와대가 지금 국회를 저렇게 깔보고 있잖아요. 안하무인의 자세 아니에요, 그러니까 저런 답변도 나오는 거예요. 사실은. 저런 코미디가 나오는 거예요. 가령 청와대 분위기가 저런데 국감에 가서 왜 이렇게 우리 정부 망신을 시키냐. 우스꽝스러운 답변으로. 그걸로 질책을 받을 것 같으면 저런 답변 못하죠. 못하는데 이건 대통령 시각부터가 국회를 워낙 우습게 알다보니 밑에서도 그냥 뭐 아무렇게나 그냥 우선 이렇게 떼우고 보자, 넘어가고 보자, 뭐 이런 풍조가 지금 그러니까 지금 아마 이것뿐만이 아니라 각 상임위에서 자료도 제대로 안내고 이런 식으로 해도 위로부터 질책이 없으니까.

▷ 주영진/앵커: 유인태 의원님은 어쨌든 청와대 쪽에서 청와대의 태도가 문제다, 뭐 이런 말씀을 하셨는데 이재오 의원님 보시기에는 우병우 민정수석이 국회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청와대 비서실에 대한 국정감사죠. 나올 거라고 보십니까?

▶ 이재오/前 새누리당 의원: 나와야 되는데 안 나오겠죠. 청와대가 뭐 내보내겠습니까, 그러나 저렇게 자꾸 하면 국정이 점점 꼬이죠. 국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나오라고 그러는데 권력의 힘을 믿고 안 나간다, 그러면 야당이 또 좀 더 세게 나갈 것 아닙니까, 그러면 국정은 점점 꼬이는 거죠. 나가야 되는데 아마 지금 하는 태도로 봐서는 안 나올 것 같습니다.

----------------

▷ 주영진/앵커: 고 백남기 농민에 대한 부검 영장. 법원이 조건을 달아서 발부를 했는데 검찰은 이걸 집행해야 된다, 이런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재오 의원님 부검 해야 됩니까? 유족이 반대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이재오/前 새누리당 의원: 저는 저렇게 2가지 견해가 충돌될 때는 유족의 입장을 따르는 게 옳다고 봅니다. 문제는 검찰과 법원의 입장이 다르다 하더라도 유족들이 그 다른 사이에서 어느 한쪽을 뭐 검찰의 입장을 따르든지 법원 입장을 따르든지 할 수가 있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부검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거는 유족의 입장이니까 저렇게 더구나 의견이 상세할 때는 유족의 입장을 따르는 게 옳다고 봅니다.

▷ 주영진/앵커: 유인태 의원님 생각은 어떠십니까?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근데 저는 이런 논란을 보면서 왜 이 나라가 이렇게 상식이 무너진 나라가 됐는가 싶은데요. 백남기씨 같은 경우는 원래 응급실에 갔을 때 우리 19대 국회 때 아니에요, 저 분 사실 보통 사람 같았으면 그때 바로 돌아가셨어요. 이미 뇌출혈로 수술도 하기 어려운 거고 의식 회복은 안 되고 얼마큼 더 연명하느냐인데 어마어마한 비용이 들거든요. 지금 저 웬만한 사람 같으면 그 비용을 감당할 수도 없는 건데 또 저런 사안을 놓고 지금 부검을 하네 안 하네. 왜 이런 논란이 벌어진 본질은 물대포를 그때 진압을 하는 게 규정에 위반됐냐 안 됐냐. 그 사람은 적법한 진압이었는데 뭐 이 양반이 운이 없어서 넘어져가지고 됐냐 안 됐냐 이게 본질인 것이지 사실상 그 날 응급실에 실려간 날 사망한 거나 다름없는 거거든요. 이걸 놓고 무슨 뭐 지금 병사니 외인사니 부검을 해야 되니 왜 이 나라가 이렇게 상식이 무너진 나라가 됐는가 하는 안타까움뿐입니다. 저는.

▷ 주영진/앵커: 네. 어쨌든 간에 이 부검 문제 또 부검 영장의 집행 문제는 앞으로 또 정국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그런 쟁점이거든요.

▶ 이재오/前 새누리당 의원: 이제 문제는 방금 우리 유인태 의원도 말씀하셨지마는 우병우 사건도 그렇고 이 백남기씨 문제도 그렇고 그냥 정상적으로 넘어갈 수 있고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문제인데 왜 이걸 자꾸 이렇게 문제를 일으키느냐. 이 책임은 어디에 있느냐. 이게 문제 아니겠어요, 

▷ 주영진/앵커: 간단하게 이렇게 한 번 여쭤볼게요. 이건 유족들이 동의를 해야 된다는 전제가 있는데 사실은 유족들은 부검 절대 안 된다 이미 사인은 명백하다 또 돌아가신 아버님 몸에 또 칼을 댈 수 없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그래서 안타까운 심정인데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 같은 경우도 이런 논리가 있어요. 그 엄혹한 군사정권 하에서도 부검을 통해서 밝히지 않았느냐. 고문사라고 하는 것을. 그렇다고 한다면 논란이 이렇게 심하다면 부검을 해서 오히려 명백하게 사인을 밝히면 유족들이 원하는 결과 나오지 않겠냐. 이런 주장도 있는데 유인태 의원님 그렇게 주장하시는 분들한테?

▶ 유인태/前 더불어민주당 의원: 아니, 이미 그날 응급실에 실려 갔을 때 뇌출혈로 보통 사람 같으면 그거 수술 안 했다 그래요. 제가 김용익 의원이 서울대의대 교수 출신이라 바로 응급실 의사들하고 통화를 해가지고 보통 같았으면 바로 사망인데 그때 바로 사망을 할 경우 이제 정부가 입장이 사실 정부가 지금까지 연명을 어떻게 하면 시간을 끌어줬다고 볼 수 있는 거라고 저는 확실하게 얘기를 들었기 때문에 아까 그런 말씀을 드렸던 겁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3시 뉴스브리핑 홈페이지 바로가기

(SBS 뉴미디어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