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다음달 1일(12월 1일) 올해로 26회째를 맞는 '세계 에이즈의 날'을 앞두고 에이즈에 대한 오해를 씻어줄 '문답으로 알아보는 에이즈 상식' 자료를 오늘(28일) 내놨습니다.
우선 많은 사람이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인 HIV에 감염된 사람과 키스만 해도 HIV에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잘못 알려진 상식입니다.
키스만으로는 감염을 일으킬 만한 충분한 양의 HIV가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인데, 침에는 1㎖당 5개 미만의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만 들어 있어 키스를 통해 감염인의 침이 상대방에게 들어가더라도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습니다.
또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HIV와 에이즈는 다른 말입니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를 말하며 에이즈는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의 영어 약자로 HIV 감염으로 면역이 결핍돼 나타나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래서 HIV에 걸린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르지 않는데, HIV 감염인이란 HIV에 걸린 모든 사람을 말하며 이 중에서 질병진행으로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됐거나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난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릅니다.
HIV는 인간 체내에서 생존하고 증식하면서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데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함께 먹어도 HIV에 걸리진 않습니다.
HIV는 성관계나 상처, 점막 등을 통해 상대방의 몸속으로 들어가야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HIV 감염인을 문 모기나 벌레 등을 통해서는 HIV에 걸리지 않습니다.
1회 성관계로 HIV에 감염될 확률은 0.1~1% 정도로 낮기 때문에 HIV 감염인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HIV에 걸려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아도 면역결핍으로 말미암아 사망에 이르기까지 10~12년 정도 걸리며 올바른 치료와 건강관리를 한다면 30년 이상 건강하게 살 수 있습니다.
현재 에이즈는 만성질환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SBS 뉴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