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직도 먼 안전…대책 따로 현실 따로

<앵커>

세월호 같은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는 게, 우리가 오늘(16일)을 기억하고 또 추모하는 이유입니다. 참사 이후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며 많은 대책을 내놨었는데 지난해 해양 사고 건수는 오히려 10년 전보다도 늘었고, 이러다 보니 사람들의 불안함도 여전합니다.

현장을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목포에서 출항을 앞둔 제주행 여객선.

운항관리자가 화물을 고정해주는 고박 장치, 침수를 막아줄 수밀문 등 안전장치들을 꼼꼼히 점검합니다.

[정주용/선박운항관리자 : 구명조끼 개수 확인하겠습니다.]

서류 검토 대신 출항 전 직접 점검은 세월호 참사 이후 달라진 부분입니다.

여객선 선령 기준도 다시 강화됐고 선박항해기록창치 설치 대상은 확대됐습니다.

작은 섬으로 가는 소형 여객선에도 올랐습니다.

여객선은 화재 위험 때문에 전체가 금연구역이지만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쉽게 발견됩니다.

[여객선 승객 : 그럼 (담배) 어디서 펴? 객실에 안 들어가잖아.]

출항 이후에도 싣고 가는 자신의 차량에 그대로 앉아 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사고가 나면 대피도 힘들고 구명장비에 접근도 어렵습니다.

[선박 관계자 : 워낙 단거리니까 사람들이 귀찮게 생각해요.]

대형 여객선에서는 안전수칙이 비교적 잘 지켜지지만, 소형 여객선은 여전히 곳곳이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겁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강화된 구명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달 부산에서 진행된 국제여객선 탈출훈련에서는 구명 뗏목으로 내려가는 장치가 펴지지 않아 훈련이 중단됐습니다.

3년 주기로 훈련을 하는데, 모르고 출항했다가 사고가 났다면 큰 피해로 이어질 뻔한 겁니다.

지난해 해양 사고 건수는 2014년과 비교해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인명피해도 좀처럼 줄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여전히 국민 10명 중 6명은 대형 사회재난에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동규/동아대 재난관리학과 교수 : 시간이 걸려도 원인 조사하고 원인 조사를 통해서 진짜 이 제도의 모순을 하나 발견해서 1대 1로 이걸 바꿔줘야 돼요. 치환을 시켜줘야 되는데 이게 지금 안 되는 거예요.]

참사를 막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 마련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 안전 대책이 얼마나 잘 지켜지는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점검이 강화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박지인, VJ : 김종갑)

▶ 유병언 일가 환수 0원…위헌 심판까지
▶ 세월호 10주기…희생자 304명 선상 추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미제공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