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산서 병원 찾다 숨진 환자…'응급실 뺑뺑이' 여부 놓고 공방

부산서 병원 찾다 숨진 환자…'응급실 뺑뺑이' 여부 놓고 공방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50대 급성 심장질환 환자가 부산에서 응급수술 병원을 찾지 못하고 4시간여 만에 울산으로 옮겨졌지만 수술 후 끝내 숨진 가운데, 사망 원인을 놓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의료계와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A 씨는 지난달 26일 오전 6시 13분쯤 가슴 통증으로 119에 신고했고, 오전 7시쯤 부산 수영구의 한 병원으로 이송돼 응급수술이 필요한 '급성 대동맥박리'로 진단받았습니다.

이송 과정에서 부산에 있는 병원 10여 곳에서 '진료가 불가능하다'는 등의 답변을 받아 첫 병원 이송까지 적잖은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급성 대동맥박리는 고혈압 등 여러 원인으로 인해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 발생하는 중증 응급질환입니다.

환자의 절반 가까이는 발생 직후 사망할 수 있습니다.

A 씨는 진단받은 병원에서 수술 불가능했던 탓에, 결국, 50㎞ 이상 떨어진 울산의 한 병원에 오전 10시 30분쯤 도착해 응급 수술을 받았습니다.

A 씨는 10시간의 수술을 받았지만 6일 만인 지난 1일 숨졌습니다.

유족은 병원들이 이송을 거부한 배경에 전공의 집단사직 영향이 있다며 국민권익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습니다.

증상이 발현한 후 곧바로 병원에 이송돼 긴급수술을 받았다면 목숨을 살릴 수 있었을 텐데 그렇지 못했으며,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공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이에 대한 응급의학회는 유족의 안타까운 마음에 공감한다면서도 '응급실 뺑뺑이' 사례로 볼 수는 없다는 주장을 폈습니다.

학회는 보도자료를 내고 119구급대의 출동과 이송 등을 고려하면 신고 후 병원 도착까지 46분 걸린 게 환자 안전에 영향을 끼칠 정도의 심각한 지연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이송한 병원도 적절했고 대동맥박리 진단을 놓친 것도 아니었고, 전원된 병원에서의 수술도 적시에 진행돼 늦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더욱이 흉부외과는 20년째 전공의 지원이 적은 탓에 전공의에게 의존하지 않은 지 꽤 됐다며, 전공의 사직 사태와도 아무 관계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사망 사례가 알려진 뒤 진료 거부 여부 등 당시 상황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사안이 알려진 뒤 바로 인력을 투입해 조사하고 있다며, 병원 내 근무인력 등 당시에 진료나 수술 여력이 없었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