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잘 나갈 줄 알았던 '노량' 흥행 부진…400만 명대 머물러

잘 나갈 줄 알았던 '노량' 흥행 부진…400만 명대 머물러
연말연시 한국 영화 최고 기대작으로 꼽혔던 '노량: 죽음의 바다'가 개봉한 지 한 달이 다가오고 있는데도 누적 관객 수 400만 명대에 머무르면서 '이순신 3부작' 가운데 최저 성적을 거둘 것으로 보입니다.

'노량'의 흥행이 예상보다 저조한 이유로는 개봉 초 '서울의 봄'이라는 막강한 경쟁작과 맞붙었다는 점, 20·30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을 만한 요소가 부족했다는 점 등이 꼽히고 있습니다.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노량'은 개봉 24일째인 어제(12일)까지 누적 관객 수 약 430만 명을 동원하는 데 그쳤습니다.

평일 하루 관객 수는 2만 명대 수준이어서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손익분기점인 720만 명 돌파 가능성은 물 건너갔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노량'이 역대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인 '명량'(1천761만 명)과 팬데믹 여파에도 흥행에 성공한 '한산: 용의 출현'(726만 명)을 이은 이순신 3부작의 마지막 편이라는 점에서 이 같은 결과는 예상 밖입니다.

이순신 장군 최후의 전투인 노량해전과 그의 죽음을 다룬 작품인 만큼, 전작 '한산'보다는 더 많은 관객이 찾을 것이라는 개봉 전 영화계 전망을 완전히 비껴갔습니다.

'노량'의 패인으로는 개봉 초기 천만 영화인 '서울의 봄'과 관객을 나눠 가지면서 확실한 승기를 잡지 못했다는 점이 거론됩니다.

개봉 1∼2주 사이에 최대한 관객을 많이 동원해야 입소문에 따른 뒷심을 발휘할 수 있는데, '서울의 봄'의 만만치 않은 기세에 동력을 최대한 끌어올리지 못한 것입니다.

지난달 20일 극장에 걸린 '노량'은 단순히 개봉 시기만 놓고 보면 타이밍이 나쁘지 않은 편이었다고 평가받습니다.

개봉 첫 주에 성탄절 연휴(12월 23∼25일), 둘째 주에 새해 연휴(12월 30일∼1월 1일)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성탄절 연휴 사흘간 '노량'은 160만여 명을, '서울의 봄'은 116만여 명을 각각 모았습니다.

당시 '서울의 봄'이 1천만 관객을 돌파한 시점이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노량'으로서는 아쉬운 성적이었습니다.

'노량'은 새해 연휴에는 관객 수가 급격히 감소해 90만여 명을 기록했고, '서울의 봄'(84만여 명)과의 격차도 더 좁혀졌습니다.

한 멀티플렉스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서울의 봄' 바통 터치가 아닌 경쟁 구도가 이뤄지면서 '관객 나눠 먹기'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처음에 이슈화가 되지 못하니 자연스럽게 입소문 효과도 크지 않았다. 일찍이 입소문 효과를 본 '서울의 봄'과 대비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노량'의 주 관객층이 중장년 세대에 몰리면서 온라인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이 약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CGV 기준으로 이 영화를 가장 많이 본 세대는 40대로, 전체 관객의 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20대 관객은 19%로, 50대(23%)보다 적었습니다.

'노량' 작품 자체가 젊은 세대를 극장으로 불러들일 매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윤성은 영화평론가는 "'노량'의 해상 액션은 '명량', '한산'과 비교해도 스펙터클이 강하고 야간 전투라는 색다른 볼거리가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명량', '한산'처럼 게임 단계를 깨나가는 듯한 전략·전술 면에서의 재미는 덜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