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너의 말이 맞다? 맞는다?…"둘 다 쓸 수 있어요"

너의 말이 맞다? 맞는다?…"둘 다 쓸 수 있어요"
앞으로는 누군가의 말이나 생각, 또는 어떤 답이 틀리지 않다는 의미를 전할 때 '맞다'와 '맞는다'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12일) 학계에 따르면 국립국어원은 지난 10일 표준국어대사전 누리집을 통해 공지한 내용에서 "'맞다'를 동사와 형용사로 통용해 쓰는 말로 수정한다"고 밝혔습니다.

그간 '맞다'는 동사로만 인정돼 왔으며 예를 들어 대화 상대의 말이 틀리지 않을 때 '너의 말이 맞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지만, 국어사전에 근거하면 '너의 말이 맞는다'가 올바른 표현이었습니다.

동사의 현재형을 표현할 때 '∼는다'를 붙이는 문법 규칙을 적용한 것입니다.

그러나 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맞다' 대신 '맞는다'는 표현이 어색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있었고, 국립국어원 측에 비슷한 사례를 문의하는 경우도 적잖았습니다.

'맞다' 형용사 추가 관련 주요 수정 내용(부분) (사진=국립국어원 제공, 연합뉴스)

이에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9월 열린 '제3차 국어사전 정보보완 심의위원회'에서 '맞다'를 동사와 형용사로 모두 볼지 논의한 끝에 통용어로 수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형용사로서 '맞다'는 '문제에 대한 답이 바르다', '말이나 생각 따위가 틀림이 없다', '어떤 대상이 누구의 소유임이 틀림이 없다' 등의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떤 행동이나 의견, 상황 등이 다른 것과 서로 어긋나지 않고 어울린다는 의미의 동사로 쓸 때는 '맞는다'가 원칙이라고 국립국어원 측은 전했습니다.

국립국어원 측은 '맞다'를 형용사와 함께 감탄사로도 인정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조치로 어떤 기억이나 생각이 불현듯 떠올랐을 때 쓰는 감탄사로 '맞다'를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한 '맞아'도 사전 표제어로 추가됐습니다.

'맞다'와 관련한 수정 내용은 올해부터 표준국어대사전에 반영됩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각종 시험 등에서의 혼란을 최소화하고자 올해부터 수정 내용을 반영하기로 했다"며 "전문가 심의를 거쳐 실제 언어생활과 현실을 수용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국립국어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