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세 번째 '코로나 수능'…확진 · 유증상자도 수능 본다

세 번째 '코로나 수능'…확진 · 유증상자도 수능 본다
다음달 17일 치러지는 올해 대학 수능시험에서 확진 수험생은 별도 시험장을 미리 배정받아 응시하고, 당일 유증상 수험생은 시험장 내 분리된 교실에서 시험을 보게 됩니다.

또 수능 사흘 전인 11월 14일부터는 시험장 방역을 위해 전국 모든 고등학교와 수능 시험장으로 이용되는 학교는 원격수업에 들어갑니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3학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오늘 국무회의에서 발표했습니다.

교육부는 11월 11일부터 격리 통보를 받은 수험생을 위해 전국 108개교, 680개 교실에 별도 시험장을 마련하는데, 최대 4천683명이 응시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까진 격리 수험생 중 밀접접촉자만 별도 시험장에서 응시하고, 확진 수험생은 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에서 시험을 봐야 했지만 올해는 밀접접촉자의 자가격리 의무가 폐지되고 격리대상 수험생의 수능 당일 외출이 허용되면서 별도 시험장에 배정된 수험생은 대부분 격리 대상 확진자입니다.

코로나로 입원 중인 수험생은 전국 24개 병원 시험장에서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교육부는 수험생이 확진될 경우 시험장을 미리 배정할 수 있도록 수능 2주 전부터 질병관리청 등과 상황반을 꾸리고 수험생 확진자 상황을 파악하기로 했습니다.

또 시험 당일 열이 나는 등 유증상자로 분류되면 일반 시험장에 마련된 분리 시험실에서 시험을 보게 됩니다.

교육부는 수험생이 수능 전날인 11월 16일 의심 증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경우 후속 조치를 위해 검사 시 수능 응시생임을 밝히고, 양성판정을 받으면 결과를 교육청에 즉시 알려달라고 당부했습니다.

2023학년도 수능은 다음 달 17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84개 시험지구 1천373개 시험장에서 실시되며, 응시자는 전년보다 1천791명 줄어든 50만 8천30명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