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다누리가 촬영한 '지구와 달' 사진 공개…내일 2차 궤적 수정 기동

다누리가 촬영한 지구와 달 사진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가 촬영한 첫 번째 지구와 달 사진이 공개됐습니다.

이 흑백 사진은 우리 기술로는 처음으로 지구 중력권을 벗어나 촬영한 사진으로 왼쪽에 달, 오른쪽에 지구가 있는 모습이 선명하게 찍혀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다누리가 지난달 26일 지구로부터 약 124만km 거리에서 고해상도 카메라로 지구와 달이 함께 있는 사진을 촬영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누리는 이어 지난달 29일 지구로부터 130만km 거리에서 지구와 달이 나란히 있는 모습을 찍었습니다.

이번 촬영은 항우연이 독자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의 기능 점검을 위해 이뤄진 것으로, 지구와 달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는 지점에서 다누리의 자세를 바꾼 뒤 촬영한 것입니다.

고해상도 카메라는 달 궤도에 진입하면 고도 100km에서 달 표면을 최고해상도 2.5m, 관측 폭 10km로 정밀하게 촬영할 예정입니다.

촬영한 자료는 2030년대에 발사할 한국형 달 착륙선의 착륙 후보지 선정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됩니다.

아울러 다누리의 탑재체 중 경희대가 개발한 자기장 측정기도 자기권계면은 뱃머리충격파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자기권계면은 지구 자기장에 의해 형성된 경계면으로, 우주로부터 오는 강한 우주선과 태양풍을 차단해 지구에서 생명체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듭니다.

뱃머리충격파는 지구를 향해 들어오는 태양풍이 지구 자기권과 부딪힐 때 발생하는 충격파로, 지구 자기권계면보다 태양 방향 쪽에 치우쳐있습니다.

이번 자기장 측정 결과는 해외의 관측 자료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었던 자기권계면을 우리나라가 개발한 다누리로 직접 관측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

자기장 측정기는 달 우주 공간 자기장을 측정할 예정이며 측정 결과는 달 표면에 특이하게 분포하는 자기 이상 지역의 진화와 기원에 관한 연구에 활용됩니다.

다누리의 임무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항우연 소속 조영호 박사는 "다누리의 본체와 탑재체 모두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번에 다누리가 보내온 지구와 달 사진은 먼 거리에서 촬영하여 해상도가 좋지는 않지만, 의미 있는 결과물을 보여드릴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누리는 오늘(1일) 오후 지구로부터 133만km 떨어진 거리에서 태양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 중입니다.

내일 오후 2시에는 다누리의 항행 방향을 태양 방향에서 지구 방향으로 바꾸는 2차 궤적 수정 기동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