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테라 코인 '연 20% 수익률 보장'의 비밀은…'폰지 사기'

테라 코인 '연 20% 수익률 보장'의 비밀은…'폰지 사기'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세계적 열풍을 몰고 온 '연 20% 수익률'은 신규 투자자의 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보장하는 '폰지 사기'였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 일찍부터 루나와 UST의 위험성을 지적해왔던 가상화폐 업계 베테랑인 케빈 저우의 이야기를 보도했습니다.

2011년 가상화폐 업계에 뛰어든 저우는 '버터코인'이라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일했으며, 가상화폐 투자 헤지펀드 '갈루아 캐피털'을 설립, 운용하고 있습니다.

저우에 따르면 UST와 루나의 인기 비결은 발행사인 테라폼 랩스가 운영하는 프로그램 '앵커 프로토콜'에서 제공한 연 20% 수익률 덕분이었습니다.

테라폼 랩스는 투자자가 UST를 예치하면 연 20%의 수익률을 제공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월가의 유명 헤지펀드들도 선뜻 보장하기 어려운 수익률로, 이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세간의 궁금증이 일었습니다.

저우는 이 고수익의 비결을 테라폼 랩스가 보유한 루나에서 찾았습니다.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인 UST의 가치를 1달러에 고정(페깅)하는 데 활용되는 가상화폐입니다.

테라폼 랩스가 보유한 루나를 할인된 가격에 팔아 약속한 수익률을 제공하는 데 썼다는 것입니다.

그는 "수익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 수가 없을 때는 사실상 미래의 '호구'로부터 나온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뒤늦게 가상화폐 시장에 뛰어든 투자자가 현 투자자의 수익을 위해 돈을 대주는 전형적인 폰지 사기였다는 의미입니다.

이론적으로는 테라폼 랩스가 앵커 프로토콜로 제공하는 수익률을 낮췄다면 상황이 나아질 수 있었겠지만, 그로 인해 투자자들이 UST 시장 자체를 떠날 위험이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습니다.

한창 성공 가도를 달리던 UST 생태계가 무너지게 된 계기는 테라폼 랩스가 UST의 가치를 떠받치기 위해 비트코인을 대거 사들인 것이 계기가 됐다고 저우는 진단했습니다.

당초 UST 생태계가 복잡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자동 복원되는 체계로 설계됐다고 주장하고선 유사시 대안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한 것은 UST 생태계가 스스로 굴러갈 수 없는 체계임을 자인한 것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루나는 외부에서 더 많은 돈을 끊임없이 투입하지 않으면 지속할 수 없는 '유사 영구기관'인 셈입니다.

저우는 "메커니즘이 한번 붕괴하자 이를 막아줄 서킷 브레이커가 없었다. 연방준비제도의 긴급 대출도 없었고, 민간 투자자의 구제금융도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