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 양극화 맞춤대책 마련…노인·자영업자가 주 대상

<앵커>

저소득층의 수입이 줄었다는 통계가 나왔는데, 정부가 맞춤 대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수입이 없는 노인들, 영세 자영업자, 임시 일용직 등이 주 대상입니다.

조성현 기자입니다.

<기자>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었던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청와대 수석, 장관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소득 하위 20%의 가계소득이 8% 준 데 반해 상위 20%의 소득은 9.3% 늘어나는 등 악화된 소득 분배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서입니다.

김동연 부총리는 저소득층 가계 소득 감소 원인으로 고용 위축과 도·소매, 음식·숙박업종의 부진을 꼽았습니다.

또 고령화가 빨라지면서 저소득 빈곤 노인 가구주가 많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정부는 맞춤형 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

노인 일자리를 늘리고 노후소득을 지원하는 방안, 영세 자영업자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 임시 일용직 지원을 늘리는 방안 등이 제시됐습니다.

[김동연/경제부총리 겸 기재부장관 : 단기적으로 할 수 있는 대책과 병행해서 중장기적으로 할 수 있는 대책도 긴 호흡으로 같이 가야되는 점을 인식을 해야 하겠습니다.]

대책이 확정되면 내년 예산과 세제 개편 과정에 반영할 계획입니다.

최저임금 인상 속도를 둘러싼 청와대와 기획재정부 간의 갈등은 일단 봉합되는 분위기지만 의견 차이가 여전하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