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남북 합의 개성공단 내 공동연락사무소에 전력공급 어떻게

남북 합의 개성공단 내 공동연락사무소에 전력공급 어떻게
▲ 문산변전소와 개성 평화변전소 잇는 송전탑

남북이 개성공단 안에 공동연락사무소를 조속히 설치하는 데 합의하면서 운영에 필요한 전기 공급이 어떻게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개성공단은 2016년 2월 우리 정부의 결정으로 남측 기업들이 철수하기 전까지는 경기도 문산변전소에서 공단 내 평화변전소로 송전하면 이를 끌어 쓰는 방식으로 가동됐습니다.

2013년 북측이 5개월간 개성공단을 폐쇄했을 때 문산변전소에서 평상시보다 10분의 1 수준의 전력이 보내졌고, 개성공단에서 필요한 용수의 확보를 위해 정수장과 배수장을 돌릴 때도 남측의 전기가 이용됐습니다.

개성공단 내에 들어설 공동연락사무소의 운영에 조명은 물론 냉·난방, 사무기기 이용, 생활용수 조달 등에 전력 공급이 필요합니다.

만약 개성공단 내 공동연락사무소가 예전처럼 남측의 전기를 끌어 쓰게 된다면 개성공단 중단 이후 처음으로 남측의 전기 공급이 재개된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남측에서 공급된 전기가 공동연락사무소에만 사용된다고 해도 개성공단 재가동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러가지 국내외 여건을 고려해야 하므로 당장 남측의 전기 공급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입니다.

대신 자체적으로 발전기를 돌려 필요한 전기를 조달하는 방식 등이 검토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아울러 개성공단 내 공동연락사무소 운영에 그다지 많은 양의 전력이 소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핵화 진전이 있어야 개성공단 재가동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해온 우리 정부는, 공동연락사무소의 개성공단 내 설치가 개성공단 재가동 추진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관측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

다만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와 관련해 성공적 타결이 이뤄지고 차후 북미·남북 관계가 크게 개선되면 전기 공급을 포함해 개성공단 재가동 논의가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개성공단 내에 공동연락사무소를 어디에 설치할지도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15일 이전에 방북할 시설점검팀이 2009년 말 완공된 15층짜리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와 2005∼2010년 운영됐던 4층짜리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 건물 등을 둘러볼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연락사무소가 들어설 적합한 장소가 정해지면 남북은 시설 보수 공사를 시작하면서 임시연락사무소를 개소하기로 했고, 임시연락사무소의 개소는 이달 내 이뤄질 예정입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4일 "일단 시설점검팀이 가서 상황을 봐야 할 것 같다"며 "방북할 시설점검팀 구성 등을 이번 주부터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