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끝내 못 만나고…상봉 기다리다 숨진 이산가족 연평균 2천400명

북녘에 떨어진 피붙이를 끝내 만나지 못한 채 숨진 이산가족이 1년에 약 2천400명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산가족 사망자 가운데 3명 중 2명꼴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7일 발표한 '2018년 남북정상회담 주요의제'를 보면 통일부 이산가족통합시스템에 등록한 이산가족상봉 신청자는 지난달 말까지 총 13만1천531명이다.

이 가운데 사망자가 56.0%(7만3천611명)로 생존자를 넘어섰다.

사망자 ⅔는 가족을 만나지 못했다.

이산가족 사망자는 2004년∼2018년 3월 연평균 3천600명이었다.

그중 상봉 기회를 얻지 못하고 눈을 감은 이산가족은 연평균 2천4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산가족상봉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확대, 지난 18년간 20차례 걸쳐 진행됐다.

방북, 방남, 화상 상봉으로 총 2만3천676명이 이산가족을 만났다.

그러나 2008년 이후 남북 관계 경색, 북한의 거부로 상봉자 수가 줄더니 2016∼2018년 3월까지 이산가족상봉이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보고서는 이산가족 중 고령층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어 하루빨리 이산가족상봉을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이산가족 생존자 가운데 70대 이상은 86.3%였다.

80대 이상 비중은 2008년 34.1%에서 10년 만에 64.2%로 30.1%포인트 급등했다.

보고서는 생존자 전원의 상봉을 위해선 앞으로 약 90차례 상봉 행사를 열어야 한다고 추산했다.

이는 2000∼2015년 실시한 20차례 당국 차원의 대면 상봉 평균인원이 647명인 점을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다.

상봉 시한이 임박한 90세 이상(1만3천167명)이 전원 상봉하려면 상봉 행사가 약 20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이달 말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산가족상봉 행사가 조속히 재개되도록 정상 간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용화·이해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생애 상봉 기한이 임박한 90세 이상의 경우 남북 간 상봉 재개 합의 과정에서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상봉의 정례화, 대규모 상봉 등을 모색해야 한다"며 "금강산 이산가족 면회소를 상시 운영하고 대면 상봉 이외에도 생사 확인, 화상 상봉 실시, 서신 교환의 상시화 등 다양한 상봉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