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름 펴주는 '보톡스' 흔해지는데…정부 관리는 '불안'

<앵커>

건강 소식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보톡스'라는 상품명으로 더 잘 알려진 보툴리눔 톡신은 미용 성형에 많이 쓰이는데요, 최근 사용되는 영역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남주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남주현 기자, 보톡스 하면 보통 미간 주름 떠올리게 되는데요?

<기자>

미간 주름, 눈가 주름 그리고 사각 턱이 대표적이죠.

보툴리눔 톡신은 일종의 독으로 근육을 마비시켜서 움츠러들게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사각 턱을 갸름하게 하고 주름도 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미간, 턱 외에 다른 부위에도 이 주사를 많이 맞습니다.

이 40대 여성은 턱과 미간에 주기적으로 보툴리눔 톡신을 맞고 있고요, 최근에는 종아리 근육에도 주사를 맞았습니다. 다리가 날씬해 보이고 길어 보이는 효과를 노린 겁니다.

[보톡스 사용자 : 종아리 보톡스를 맞고 나면 높은 신발을 신었을 때, (근육이) 많이 줄어 보이더라고요. 그래서 가늘어 보이더라고요.]

종아리뿐 아니죠. 목이 가늘고 길어 보이도록 어깨에 주사를 놓기도 합니다.

[인성일/피부과 전문의 : 미용 시술 목적으로 쓰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없고, 효과라고 하는 게 시간이 지나면 다 회복이 되기 때문에 그게 장점이자 단점인 거죠.]

보툴리눔 톡신은 애초에 사시나 눈꺼풀 떨림 치료에 가장 먼저 사용된 만큼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고요.

실제로 외국에서는 미용보다는 치료 목적으로 더 많이 이용됩니다. 다한증, 편두통으로 사용되는 제품도 있고,
난치성 고혈압 등에 대한 각종 임상 시험도 진행 중입니다.

<앵커>

이렇게 사용 영역이 많아지면, 만들고자 하는 제약사도 많을 것 같은데요?

<기자>

그래서 문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보톡스 같은 보툴리눔 톡신으로 제품을 만들어 파는 업체는 10곳인데, 이 중 무려 4개가 우리나라 업체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와는 별개로 국내 기업 10곳이 제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업체가 해외 보톡스 시장까지도 염두에 두고 제품을 개발하고 있긴 하지만 일단 국내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 비용은 과거에 비해 굉장히 저렴해졌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가운 일이죠.

문제는 보톡스 같은 제품은 독성을 약하게 해서 문제가 없지만, 그 원재료인 보툴리눔 균, 이 균 자체는 매우 희귀하고 위험한 균이라는 겁니다.

외국에서는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0여 개 업체가 제품 판매나 개발에 뛰어든 것이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죠.

이런 가운데 제품 개발의 핵심인 균을 어디에서 어떻게 구했느냐, 즉 균주의 출처를 둘러싸고 업체 간에 논쟁과 소송이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앵커>

말씀하신 데로 위험한 균인데 출처가 확실하지 않다고 하니 불안한데요.

<기자>

보툴리눔 톡신 균주는 감염병 관리법과 생화학무기법 등을 토대로 여러 부처에서 엄격하게 관리하는 고위험 병원체입니다.

한 연구에서는 보툴리눔 톡신 17kg만 있으면 서울 인구의 절반이 사망할 수 있다고 추산할 정도로 독성이 강합니다. 위험하지만 의학적으로 또 산업적으로 굉장히 가치 있는 균이죠.

균 자체의 특성 때문에 감독 책임이 질병관리본부와 산자부, 식약처, 농림축산식품부 등 여러 부처에 나뉘어 있는데, 일단 정부에 신고된 균은 잘 관리되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입니다.

그러나 균의 출처에 대해서는 정부 어느 부처에서도 확인하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각 업체의 보툴리눔 톡신의 유전자를 분석해서 출처 논란을 원천 차단하고, 국가 차원에서 균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비용이 든다, 기업 기밀이다, 또 강제할 법이 없다, 이런 이유로 지금까지 방치해 왔는데 국민 안전을 위해서라도 정부가 엄격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겁니다.

[조유희/차의과학대학 약학과 교수 : 굉장히 위험한 균이 자연상태에서 나왔다면, 우리나라에 이런 균이 어디에 어떻게 퍼져 있고 역학적인 조사 차원에서도 정보를 분석하는 건 해야 하고, 국가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어요.]

국민의 불안감이 큰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법을 개정해서라도 보툴리눔 톡신같은 고위험 병원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