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평창why] 약물의 유혹 '도핑'…도핑테스트는 한 선수의 죽음으로 시작됐다?

[평창why] 약물의 유혹 '도핑'…도핑테스트는 한 선수의 죽음으로 시작됐다?
※ SBS 뉴스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맞아 '평창why' 시리즈를 선보입니다. 국내에서 처음 열리는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 대표팀 선수들과 긴장감 넘치는 경기 순간들,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평창 동계올림픽 소식까지 생생하게 전해 드립니다. <편집자 주>

지난 19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도핑 스캔들' 없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만들기 위해 이미 1만 건이 넘는 도핑테스트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IOC는 지난 소치 올림픽 등에서 러시아 선수단 사이에서 조직적인 약물 복용이 이뤄졌다고 결론짓고 러시아 국가대표 선수단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금지했는데요. 다만, 일부 선수 중 도핑테스트를 문제없이 통과한 경우에 한해서만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게 했습니다.

■ '클린올림픽' 목표로 하는 평창, 6천여 명의 선수 도핑테스트

2018 평창 올림픽은 '도핑 클린올림픽'을 목표로 합니다. IOC는 도핑이 없는 깨끗한 평창올림픽을 위해 '사전 반도핑 태스크포스(Pre-Games Anti-Doping Taskforc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각국 반도핑 기구, 동계올림픽 종목 국제연맹 등과 함께 61개국 6천여 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1만 4천 건 이상의 도핑테스트를 실시했는데요. 이는 2016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70%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그래픽
[리처드 버젯 / IOC 의무과학국장]
"도핑에서 깨끗한 선수를 보호하는 게 IOC의 최우선 정책입니다. IOC는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하는 모든 깨끗한 선수들이 공정한 상황에서 경기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습니다." //
특히 IOC는 러시아 선수들에 대해선 다른 나라 선수들보다 2배 이상 도핑테스트를 치렀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이뤄질까요? 경기 기간에는 일반적으로 경기가 시작되기 12시간 전부터 경기 직후까지 도핑테스트가 실시됩니다. 선수들의 경기가 없다고 해서 약물 검사가 중단되는 것은 아닙니다. 올림픽을 비롯해 대회가 없는 기간에는 사전 예고 없이 도핑테스트가 이뤄집니다.
*그래픽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이뤄질까? //
주로 소변검사나 혈액검사로 진행되는데요. 선수의 소변 샘플을 두 개 채취해 하나는 경기 개최지에서 바로 검사하고 다른 하나는 10년간 냉동 보관 후에 재검사합니다. 추후에 약물이 발견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혈액으로 도핑 여부를 확인하기도 하는데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혈액검사가 병행됐습니다. 이번 평창 올림픽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컨트롤센터가 전 세계 선수들의 도핑테스트를 담당합니다.

■ 도핑테스트, 로마 올림픽 사이클 선수의 죽음에서 시작됐다?

그렇다면 도핑테스트는 언제부터 시작된 걸까요? 도핑(Doping)은 포도 껍질로 만든 술의 이름인 'dop'에서 유래했습니다. 'dop'은 남아프리카의 줄루(Zulu)족 전사들이 전쟁이나 사냥을 나가기 전에 용맹성을 높이기 위해 만든 술인데요. 도핑은 영국 경주마에 사용되는 아편과 마약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다가 올림픽에서 도핑테스트가 시작되면서 그 의미가 지금처럼 바뀌게 됐습니다.

1960년대 이전까지는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의 금지 약물 복용을 적발하거나 제재할 방법이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덴마크 사이클 선수인 커트 젠센이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 흥분제인 암페타민을 복용했다가 경기 중에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또 1967년 세계 최고 권위의 사이클 대회인 투르 드 프랑스에서 영국 선수 토미 심슨이 암페타민 복용으로 사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도핑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습니다.

*그래픽
도핑테스트는 한 선수의 죽음에서 시작됐다? //
이를 계기로 1967년 IOC에 의무분과위원회가 설치됐고 이듬해인 1968년 그레노블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도핑테스트가 정식으로 도입됐습니다.

■ 도핑 적발돼 올림픽 메달 박탈당한 선수들도 있다?

IOC에서 본격적으로 도핑테스트가 시작됐지만 선수들의 도핑 사건은 끊이질 않았습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남자 육상 100m 부문 1위를 차지한 캐나다의 벤 존슨은 도핑 사실이 발각돼 3일 만에 금메달을 박탈당했습니다. 당시 벤 존슨은 경기 직후 실시된 소변 검사에서 스테로이드 양성반응이 나왔습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레슬링 남자 자유형 74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우즈베키스탄의 소슬란 티기에프 선수가 도핑이 적발돼 실격 처리당했고 벨라루스의 육상 여자 포환던지기 금메달리스트인 나제야 오스타프추크도 도핑테스트에서 금지 약물 양성 반응으로 메달을 반납해야 했습니다.
메달 박탈
2016년에는 리우올림픽 개막을 앞두고 세계반도핑기구(WADA)가 러시아 국가대표 선수단의 도핑을 폭로하면서 역도, 육상 등의 종목에서 출전을 금지당했습니다. '사이클의 황제'로 불리는 미국의 사이클 선수 랜스 암스트롱은 도핑으로 올림픽 메달뿐만 아니라 다른 경기의 메달까지 반납한 선수입니다.

암스트롱은 투르 드 프랑스에서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우승을 차지했고 7개의 우승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다양한 종류의 금지 약물을 복용하고도 이를 은폐하기 위해 도핑테스트 때마다 출국하거나 의사로부터 허위 처방전까지 받았습니다. 결국 암스트롱은 1998년 이후 모든 대회의 수상실적을 박탈당했습니다.

평창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도핑 없는 공정한 경기와 진정한 스포츠 정신으로 클린올림픽을 완주하길 기원합니다.

(기획·구성: 송욱, 장아람 / 디자인: 정혜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