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특권과 반칙 없는 세상…적폐청산, 앞으로 남은 과제는?

<앵커>

올 한해를 달군 또 하나의 키워드는 바로 '적폐청산'입니다.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자'는 '염원'이 반영돼 '척폐청산'이라는 이름으로 개혁과 사정 작업이 올 한해 진행됐습니다.

이곳 광화문 광장에서 촛불로 시작된 이런 염원이 올 한해 얼마나 진행됐고 남은 과제는 무엇인지 이어서 이한석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기자>

국민들은 '적폐'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지난 1년 동안 인터넷과 SNS에 적폐와 함께 등장한 단어들을 빅데이터로 분석을 해 봤습니다.

'크다', '뿌리 깊다' 같은 표현이 대부분입니다. 또 '뇌물수수' 일상에서 경험하는 '갑질'도 자주 등장합니다.

적폐의 대상으로 거론된 곳은 역시 힘 있는 권력 기관들입니다. 정권, 검찰과 판사, 국정원, 그리고 제 할 일을 다 못 한 언론도 있습니다.

지난 1년 적폐청산은 이들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미르재단 강제모금과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비롯해 국정원 특활비를 쌈짓돈처럼 쓰고 권력기관을 사유화했던 박근혜 정권의 민낯도 드러났습니다.

권력에 줄을 댄 대기업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대통령 취임식, 2017년 5월 10일 : 구시대의 잘못된 관행과 과감히 결별하겠습니다.]

국정원을 시작으로 권력기관에는 개혁의 칼바람이 몰아쳤습니다.

정치개입과 민간인 사찰이 드러난 국정원과 정치적 중립에 타격을 입은 검찰은 수사권 폐지와 수사권 조정을 앞두고 있고 군은 기무사와 사이버사 개혁, 법무부는 문민화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이 와중에 정치 보복이라는 반발도 있었고.

[이명박 전 대통령 (2017년 11월 12일) : 이것이 과연 개혁이냐, 감정풀이냐, 정치적 보복이냐 이런 의심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수사를 받던 현직 검사의 자살로 과잉 수사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습니다.

적폐 수사와 새로움을 만드는 일상의 적폐청산이 따로 또 같이 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신율/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언젠가 또 바뀌면 정책이 도마 위에 오르지 않을까 공무원들이 일을 안 하게 되고 국민들이 상당히 손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는 거죠.]

지난 정부에 대한 단죄에 그치지 않고 특권과 반칙, 불공정이 판치지 않는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 달라는 것, 그것이 촛불이 염원했던 '적폐청산'의 의미일 겁니다.

<앵커>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들어가는 길. 바로 이곳 광화문 광장에서 시민들이 그 길을 처음 열었습니다. 지금은 시민들의 이 외침이 이곳에서 들리지는 않지만 역사는 이 외침을 기억하고 이 외침은 조금 더 나은 대한민국이 되는 커다란 동력이 될 겁니다. 지금까지 광화문 광장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 김명구, 영상편집 : 이승열)  

▶ 촛불 들고 외친 '민주주의'…시민 참여가 가져온 변화들
▶ '5월 대선과 여소야대' 2017 올해의 정치권 '말·말·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