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5·18 계엄군 37년 만의 증언…"시신에 신분증 얹어 암매장했다"

5·18 계엄군 37년 만의 증언…"시신에 신분증 얹어 암매장했다"
▲ 5·18 암매장 추정지 옛 광주교도소 전경 

"신분증이 있으면 가슴 위에 얹었다. 관이 없으니 가마니를 덮어서 묻었다"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으로 옛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15대대 부사관 출신 김 모 씨는 지난 22일 5·18기념재단 관계자와 현장을 둘러보며 37년간 간직해온 기억을 털어놨다고 연합뉴스가 전했습니다.

김 씨는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가 있었던 1980년 5월 21일에 전남대 퇴각 명령을 받고 호남고속도로가 바라보이는 교도소 서쪽에 배치됐습니다.

그는 "부대원과 함께 고속도로를 오가는 차량을 향해 총을 쏘았고, 멈춰선 차 안에서 시신을 수습했다"고 5·18재단에 증언했습니다.

김 씨는 "암매장에는 직접 참여하지 않았지만,방치된 시신에서 악취가 나니까 묻었다"고 재단 측에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5·18이 끝나고 나서 이곳에 처음으로 왔다"며 "모든 걸 이야기하고 나니 마음이 후련하다"고 털어놨습니다.

그의 증언처럼 옛 교도소에서는 계엄군에게 연행당한 시민뿐만 아니라 전남 담양에서 광주 도심을 오가던 여러 시민이 계엄군 총격에 살해당했습니다.

당시 3공수 5개 대대 병력은 교도소로 퇴각하면서 전남대에 연행한 시민 수십 명을 끌고 갔고, 초과 인원이 탑승한 차량 적재함을 밀폐한 채 CS최루분말가스를 터뜨리는 만행을 저질렀습니다.

적재함에서 밀려 나오는 시민은 대검으로 찌르면서 욱여넣었습니다.

차량이 교도소에 도착했을 때 6명이 숨져 있었습니다.

재단이 최근 입수한 '12·12 및 5·18 사건'검찰 진술조서에는 '전남대에서 교도소로 호송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3명을 포함해 12구의 시체를 매장했다'는 증언이 남아 있습니다.

관련 진술을 한 1980년 당시 3공수 본부소속 김 모 소령은 암매장 시점을 '5월 23일 오후 6시부터 약 2시간'이라고 검찰에서 밝히며 약도까지 그렸습니다.
3공수여단 장교가 남긴 5·18 암매장 약도 (사진=연합뉴스)
재단은 이와 비슷한 시민 제보도 최근 입수했습니다.

1980년 5월 교도소에 수용됐던 최 모 씨는 "1급 모범수로 생활하며 매일 저녁 6∼7시 모포를 털거나 빨래를 걷었다"며 "어느 날 이 시간 교도소 담장 밖에서 굴착기가 작업하는 모습을 봤다"고 말했습니다.

최 씨가 지목한 작업 현장은 김 소령이 '시신 12구를 묻었다'고 검찰에 남긴 약도 속 장소와도 일치합니다.

5·18재단에 따르면 광주교도소 재소자들이 과거 농장으로 일궜던 해당 장소에서 오는 30일 발굴이 시작됩니다.

재단은 5·18 항쟁 기간에 100명이 넘는 중환자가 치료받았다는 교도소 진료기록을 토대로 많은 수가 암매장당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광주 북구 문흥동에 자리한 옛 교도소는 2015년까지 죄수를 수용했던 법무부 보안시설입니다.

5·18 재단이 항쟁 후 최초로 시도하는 옛 교도소 발굴을 통해 37년 전 사라진 사람들 행방을 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사진=연합뉴스)

▶ 5·18 행방불명자 37년 만에 발견되나…옛 광주교도소 30일 발굴 시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