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벌그때'? '친맥'? 엉터리 한국 교재 왜?

80년대 한국의 젊은이들은 ‘영웅본색’의 주제가 ‘당년정(當年情)’을 발음 그대로 한글로 받아 적으며 광둥어를 배웠다. 90년대에는 미국의 보이그룹 ‘뉴 키즈 온 더 블록’의 ‘스텝 바이 스텝(Step by step)'을 들으며 영어 공부를 했다. 홍콩과 미국 문화에 푹 빠졌던 시절, 그들의 언어조차 동경의 대상, 학습의 목표였던 것이다.

지금은 전 세계 젊은이들이 한글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드라마와 케이팝 등 한류 덕분이다. 마치 우리가 미드, 영드를 통해 쉽고 재미있게 영어를 배우듯, 드라마와 케이팝을 통해 한글과 한국 문화를 배우고 싶어 한다.

그 어디보다 이런 열기가 뜨거운 곳은 중국이다. 실제로 중국 시내 대형 서점과 아마존 중국 등 인터넷 서점에서는 한국 드라마를 소재로 한 한글 교재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취재파일] ‘벌그때’? ‘친맥’? 엉터리 한국 교재 왜?
가장 눈에 띄는 한글 교재를 살펴보았다. 돌풍을 일으켰던 ‘별에서 온 그대’, ‘상속자들’, ‘태양의 후예’까지 최신 드라마를 소재로 한 책들이다. 중국기계출판사라는 곳에서 출간한 교재로, 드라마 속 대사 900문장을 한글로 배울 수 있다고 홍보하고 있다. 35위안, 우리 돈으로 6~7천 원 선이다. 드라마 속 장면을 그대로 가져와 표지를 장식하고 있어 한류팬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밖에 없다.
[취재파일] ‘벌그때’? ‘친맥’? 엉터리 한국 교재 왜?
화려한 외양과는 달리, 내용은 엉망이었다. 심지어 드라마 제목인 ‘별에서 온 그대’조차 ‘별에서 온 그때’라고 전혀 다른 뜻의 단어로 표기되어 있었다. 치맥 열풍으로 치맥 관광까지 생겨나게 한 ‘치킨과 맥주’는 철자가 완전히 틀린 ‘친킨과 맥주’로 나와 있었다. 한글을 한창 배우는 외국인이 더듬더듬 쓴 것이라면 ‘애교’로 보아 넘길 수 있겠지만, 한글 교재이기에 마냥 ‘재미있다’ 또는 ‘웃기다’고 볼 수는 없었다. 몇 가지 오류 사례를 적어보겠다.
[취재파일] ‘벌그때’? ‘친맥’? 엉터리 한국 교재 왜?
[취재파일] ‘벌그때’? ‘친맥’? 엉터리 한국 교재 왜?
엉터리 교재가 나오게 된 건, 교정이나 검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전문가가 참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제작비를 아끼기 위해 ‘아마추어’에게 제작을 맡겼을 것이고, 여러 번 거쳐야 하는 교정 과정도 건너뛰었을 수 있다. 또, 저작권 계약 절차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제작사와 정당한 계약이 있었더라면, 정확한 내용의 스크립트를 바탕으로 교재를 만들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드라마 제작사들은 해당 출판사와 계약을 맺은 바 없다고 밝혔다. 심지어 이런 교재가 시중에서 팔리고 있는 지조차 모르고 있었다며 황당해했다.

‘태양의 후예’의 경우, 국내 한 출판사가 중국 내 출판 저작권을 가지고 드라마를 소재로 한 소설을 이미 출간했다. 중국에서 이 드라마와 관련된 출판물을 내려면 반드시 이 출판사를 거쳐야만 한다. 하지만, 한글 교재와 관련한 계약은 단 한 건도 없었다.

중국에서의 저작권 침해는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 콘텐츠 업체들은 중국 지사 등을 통해 꾸준히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워낙 방대한 양의 ‘카피’가 이뤄지다 보니 잡아내는 것도 쉽지 않다. 설사 침해 사실을 발견해서 항의를 하거나 조치를 취하더라도 ‘잠깐’ 사라졌다가 어느새 우후죽순 다시 생겨난다.

게다가 중국 당국이 한국의 사드 배치를 빌미로 ‘한한령’(한류 금지령)을 내려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사업이 사실상 마비된 상황에서, 괜스레 잘못 건드렸다 ‘부스럼’이 날까봐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외에서 우리 기업을 보호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는 정부도 별다른 힘이 되어주지 못하고 있다.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는 아직 제대로 된 피해 실태 파악도 못하고 있다. 그저 한한령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이 직접 피해 접수를 하도록 피해접수센터만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국회 교육문화체육위원회 소속 유은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다. 첫째, 문화체육관광부가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 실태파악을 바탕으로 향후 이뤄지게 될 한중 FTA 추가 협상 시 저작권 부문을 치밀하게 다루라는 주장이다.

중국이 우리 드라마 등 콘텐츠를 마구잡이로 갖다 쓰면서 우리 저작권자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지 못하는 것도 큰 문제이지만, 그보다 더 큰 문제가 있다. 어설프고 부정확한 내용으로 자칫 한글 파괴나 한국 문화 왜곡이 심각한 수준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