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난임 시술' 경제적 부담에 눈칫밥…사회적 지원 필요

<앵커>

저출산이 심각한 상황에서도 난임 시술을 받으면서 아이를 갖기 위해 힘겹게 노력하는 여성이 20만 명이 넘습니다. 그런데 한 번에 몇백만 원씩 돈이 들고, 회사 눈치 보느라 병원 오가는 것도 쉽지 않아서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 기자입니다.

<기자>

인공 수정 시술을 받는 37살의 이 맞벌이 직장인은 휴가를 자주 내는 게 눈치 보여서 담당 의사를 바꿨습니다.

[37세 직장인 난임 여성 : (유명한 의사에서) 대기 시간이 조금 더 짧은 선생님으로 한 번 바꿨죠.]

한 번 시술 받으려면 각종 검사와 난자 채취 등을 위해 10번 넘게 병원에 가야 합니다.

[김하신/서울대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 (난임 시술은) 수면 마취를 하게 되고, 회복하는 시간이 3시간에서 4시간 정도 더 필요합니다.]

시술 비용도 큰 부담인데 고령일수록 더 커집니다.

[배수진/42세 (둘째 난임 시술 시도 중) : 돈을 벌어서 빨리 다음 시험관을 준비해야겠다는 그런 게 있습니다. 돈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습니다.]

실질적인 비용과 휴가를 직접 지원하면 출산율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도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정부가 사흘의 난임 휴가제도를 도입하고 경제적 지원도 늘리기로 했지만, 더 획기적이고 과감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권용진/서울의대 공공의료사업단 교수 : 공공 난임 센터를 통해서 실제 정부지원으로 100% 해결하는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저소득층은 난임 치료를 시작하기가 어렵습니다.]

난임 시술로 태어난 아이가 전체 출생아의 4.4%까지 늘긴 했지만 이 비율이 10%를 넘어야 출생의 절벽을 그나마 누그러뜨릴 수 있다는 게 학계의 견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