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어차피 맞을 매라면"…한반도 사드 배치 앞당긴 이유

<앵커>

안정식 기자 북한 전문기자 나와 있습니다. 안 기자, 우리가 어제(6일) 8시 뉴스에서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서 정부가 이례적으로 기민하게 움직이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는데, 오늘 이 사드 전개와 관련이 있는 것 같기도 하네요.

<기자>

어제 북한이 발사한 것은 스커드 계열 미사일로 아주 특이한 미사일은 아니었는데, 정부가 아주 긴박한 움직임을 보여준 건 결과적으로 사드의 조기 배치를 위한 분위기 조성 차원이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중국에는 당연히 통보를 안 했겠죠?

<기자>

지금 중국이 보복하는 상황에서 통보하지 않았다는 건데요, 제 생각에는 그래도 해야 했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외교적으로 볼 때 상대국 정부가 사전에 미리 알려주는 거 하고 언론 보도를 통해서 아는 건 굉장히 틀리거든요.

어쨌든 한중 관계를 완전히 포기할 수는 없는 거니까 아무리 중국이 보복하더라도 미래를 생각해서 그래도 몇 시간 전에는 사전 통보를 해야 했지 않느냐 하는 생각입니다.

<앵커>

앞서 리포트에서도 몇 번 분석을 했습니다만 이렇게 갑자기 배치를 앞당긴 이유에 대해서 깊이 있게 분석해봤으면 좋겠는데요.

<기자>

국방부 설명은 당초 계획대로 온 거라는 건데 그대로 믿기는 어렵겠죠.

중국이 보복을 통해 사드 배치 철회를 압박하고 있는데, 배치를 기정사실화해서 "사드 배치는 끝난 문제"라는 메시지를 중국에 주려 한 것 같습니다.

배치를 순차적으로 하든 전격적으로 하든 중국의 보복은 있을 텐데, 어차피 맞을 매는 빨리 몰아서 맞고 상황을 조기에 정리하는 게 장기적으로 낫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 같습니다.

또, 조기 대선 국면에서 쟁점이 되면 사드 배치가 영향받을 수 있는데, 아예 배치해서 대선에서 사드 배치가 쟁점이 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도 있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앵커>

결국 그 이야기대로라면 이제는 사드 문제는 되돌리기 어려워진 사안이 됐다고 이야기해도 되겠네요.

<기자>

그런 분위기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대못 박혔다, 퇴로를 사실상 차단했다는 이야기들도 나오고 있는데요, 사드 장비까지 온 마당에 철회하게 되면 사실상 중국의 압력에 우리가 굴복한 게 되고, 이건 우리의 안보 주권 문제와 연결됩니다.

즉, '중국이 압력을 가하면 한국은 정책을 바꾼다'는 선례를 남기게 되면 중국이 앞으로도 우리 안보정책에 계속 간섭하려 하지 않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우리 안보 주권 차원에서 철회하기 어려운 면이 있고요.

또, 우리 안보 근간은 어쨌든 한미동맹인데, 이미 들여온 장비를 미국에 되돌려주기는 어느 지도자건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