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포트+] 中 사드 보복 '본격화'…예견된 보복에 대책은 없나?

[리포트+] 中 사드 보복 '본격화'…예견된 보복에 대책은 없나?
중국의 사드 보복이 노골적이고 전면적으로 번져가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한국행 관광상품 판매 금지조치를 베이징에 이어 사실상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사드 부지를 제공한 롯데도 '집중 포화'를 맞고 있습니다. 이젠 어떻게든 공식적인 대응이 불가피한 상황이 됐는데 당장은 출구가 마땅치가 않습니다.

■ 확연히 줄어든 中 관광객…상인들 '발동동'

중국 당국은 지난 2일 베이징에 이어 다음날에는 상하이와 장쑤성 등 중국 동부지방의 여행사들에게 한국관광 상품 판매 중단을 지시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과 가까운 중국 동부는 중국인 여행객(유커)가 80% 가량 출발하는 곳이어서 이 지역만 통제해도 한국행 유커는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

나머지 지역에도 곧 여행업계를 관할하는 국가여유국의 지침이 전달될 예정이어서 이번 주까지, 한국 여행상품 판매금지조치가 중국 전역으로 확대될 걸로 보입니다.

금지 대상에는 단체관광은 물론 개별여행도 여행사를 통하는 건 모두 포함됐습니다. 개인이 한국 여행을 하려면, 항공권과 숙소 예약은 물론 입국 관련 서류까지 모두 직접 준비해야 합니다. 그러면서도 중국여행사는 피해를 줄이도록, 시행 시점을 오는 15일로 잡았습니다.
관련 사진
중국 국가여유국은 제주도에 여행 갔던 자국민들이 입국을 제지당하는 일이 급증하고 있다며 목적지를 신중히 선택하라는 경고성 글을 부처 홈페이지에 올렸습니다.

중국 관광객이 많이 몰리던 제주는 벌써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여행업계는 메르스 사태 때보다 위기감이 훨씬 더 크다는 판단입니다.

단체 관광객으로 가득했던 제주 바오젠 거리는 한산한 모습이고, 일부 매장은 문을 닫기도 했습니다. 중국 상하이에서는 제주 여행 취소가 잇따르고 있고, 저장성에선 여행 문의가 뚝 끊겼습니다.

지난해 제주를 찾았던 중국인 관광객은 306만 명에 달합니다. 중국 정부 규제를 직접적으로 받는 단체 관광객은 230만 명으로 75%나 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 롯데 직접 겨냥한 조치…마트도 '영업 정지'

한국여행 제한 조치는 롯데를 직접 겨냥하고 있습니다. SBS 취재 결과, 지금 한국에 와 있는 단체 여행객들부터 '롯데' 자가 붙은 곳은 백화점, 면세점 할 것 없이 어디든 방문하지 말라는 지침이 내려졌습니다.

중국 정부는 당장 지금 한국에 들어와 있는 자국민 단체 여행객부터 모든 롯데 계열사에 대한 출입을 제한하라는 조치를 내렸습니다.

한국 여행 상품 판매 중단을 결의한 2일 중국 국가여유국 회의에서 함께 나온 조치입니다. 여행 업체들은 당장 3일부터 관광 일정에서 '롯데' 자가 붙은 곳을 빼기 시작했습니다. 면세점 연간 매출의 70%인 4조 원 가량이 중국인 주머니에서 나오는 롯데는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중국에 있는 롯데마트도 난처한 상황에 처했습니다. 중국에 있는 롯데마트 네 곳이 영업 정지 통보를 받았습니다.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와 둥강시, 장쑤성 창저우과 저장성 항저우 등 4곳입니다. 소방법을 위반했단 게 이유입니다.

롯데 측은 위반 사항을 보완해 조속한 재개장을 준비한다는 입장이지만 중국의 보복성 조치가 확대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관련 사진
롯데는 대책회의를 열고 우리 정부에 사실상 구원 요청을 보냈습니다. 성주골프장 사드 부지 제공이 국가안보 요청에 따른 것일 뿐 개별 기업인 롯데가 주도할 사안이 아니라는 점을 외교채널을 통해 충분히 설명해달라는 겁니다.

■ 롯데 외에 다른 기업들도 '전전긍긍'

피해는 롯데뿐이 아닙니다. 아모레퍼시픽 일부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며 수입 제재를 가했습니다.

한국화장품 수출국 가운데 중국이 4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아 긴장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항공사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미 전세기 운항 정지에 이어 관광객 급감이 정규 노선에도 영향이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업계도 울상입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는 중국 정부의 인증이 필수적이라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중국 정부는 삼성 SDI, LG화학 배터리를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제품 목록에서 제외했고, 업체들은 다시 심사받으려고 하는데 진척이 없는 상황입니다.

현대차는 전체 매출의 23%가 중국에서 나올 정도로 비중이 크기 때문에 혹시나 한국 제품에 대한 여론이 나빠질까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 예견된 보복인데 대책은 없었나

외교부는 관광 금지에 관한 내용이 사실이라면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다만, '사실이라면'이라고 전제를 달면서 여전히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의 이런 미온적인 태도는 지난해 7월 사드 배치 결정 이후 계속됐습니다. 한류 제한 같은 보복 움직임이 결정 다음 달인 지난해 8월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그때 외교부 입장과 최근 외교부 입장은 거의 비슷합니다.
관련 사진
정부는 7달 동안 앵무새처럼 같은 말만 반복해 왔던 겁니다. 정부의 이런 모습은 사실은 뾰족한 대책이 없기 때문인 걸로 보입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3일 "국제 규범에 어긋나는 부분이 있는지 살펴서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정부의 공식 조치가 아닌 것처럼 중국이 일을 꾸미고 있어서 WTO 제소 같은 대응도 쉽지 않습니다.
관련 사진
(취재: 편상욱, 정호선, 임상범, 김수영 / 기획·구성 : 김도균 / 디자인 : 정혜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