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리포트+] '똘똘이'에서 수갑 찬 '법꾸라지'까지…김기춘의 시작과 끝

[리포트+] '똘똘이'에서 수갑 찬 '법꾸라지'까지…김기춘의 시작과 끝
권불십년 화무십일홍(權不十年 花無十日紅)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십 년 가는 권세 없고, 열흘 붉은 꽃 없다'라는 의미인데, 권력이나 부귀영화는 오래 지속하지 못함을 일컫는 말입니다.

지난 21일,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혐의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구속됐습니다. 1960년 사법고시에 합격한 이후 김 전 비서실장은 50년 넘게 공직에 있었습니다.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국장,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그리고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요직을 두루 거쳤습니다. 하지만 특검에 소환된 지난 22일, 김 전 비서실장의 손에는 수갑이 채워져 있었습니다.

'권불오십년', 무엇이 50여 년간 권력을 누린 김 전 비서실장의 말로(末路)를 서울구치소로 향하게 만든 걸까요?

오늘 '리포트+'에서는 박정희 정권에서 '똘똘이'라 불리던 김 전 비서실장이 박근혜 정권에서 '법꾸라지'로 불리기까지, 그의 행적을 살펴봤습니다.
■ 구시대의 상징, ‘김 똘똘이’
김기춘 전 비서실장은 ‘구시대의 상징’으로 불립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부터 그의 딸인 박근혜 대통령까지 56년 동안 요직에 있었던 김 전 비서실장은 대한민국 현대사를 쥐락펴락한 인물입니다.

김 전 비서실장은 1972년 법무부 검사 시절, 박정희 정권에서 유신헌법 초안을 작성했습니다.

1974년에는 육영수 여사 피살사건 현장에서 체포된 문세광을 심문해 자백을 받아내기도 했습니다. 이때부터 박 전 대통령은 김 전 실장을 똑똑하다는 의미에서 ‘김 똘똘이’라고 불렀습니다.

육 여사 저격범 사건을 잘 마무리 지은 공으로 김 전 비서실장은 35살의 나이에 중앙정보부 대공수사국 국장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김 전 비서실장은 대공수사국에서 박정희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을 잡아들이는 데 주력했습니다. 1977년 '재일교포 유학생 간첩단 조작사건'과 '2차 인혁당 사건'도 그가 중앙정보부에 있을 당시의 사건들입니다.

두 사건 모두 재심에서 국가가 조작한 간첩사건으로 결론이 나 무죄판결이 났지만, 김 전 비서실장은 이에 대해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았습니다.

김 전 실장은 전두환 정권에서도 탄탄대로를 걸었습니다. 1986년에는 검사장, 노태우 정권 시기인 1988년에는 검찰총장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2년 후인 1991년에는 최연소 법무부장관으로 임명됐습니다.
■ 구속을 피했던 '미스터 법질서'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또 다른 별명은 '미스터 법질서'입니다. 본인이 인정한 별명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법을 지켜라"라는 말을 버릇처럼 해 붙은 별명입니다.

김 전 비서실장이 ‘미스터 법질서’, ‘법의 지배자’ 등으로 불리게 된 배경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법의 심판대 앞에 설 때마다 법률 지식을 무기 삼아 법망을 빠져나갔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남이가'라는 유행어를 낳은 ‘부산 초원복집 사건’이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1992년, 김 전 비서실장은 공직 인생에서 첫 번째 위기를 맞게 됩니다.

14대 대통령선거를 사흘 앞둔 1992년 12월 15일, 통일국민당 후보 정주영(현대그룹 회장) 후보 측은 충격적인 사실을 폭로했습니다.

당시 법무부장관이던 김 전 비서실장이 대선을 앞두고 부산시장과 경찰청장 등 부산 지역 기관장들을 모아 민주자유당 김영삼 후보를 지원하자고 모의한 것이 정주영 후보 진영의 도청으로 밝혀진 겁니다.
*그래픽
[김기춘 / 당시 법무부장관]
“우리가 남이가, 이번에 김대중이나 정주영이 되면 영도다리에 빠져 죽자. (···) 하여튼 민간에서 지역감정을 좀 불러일으켜야 돼. (···) 강 (상공회의소) 회장, 편집국장, 사회부장, 정치부장, 이런 놈들 뭐 (돈) 주면서, 돈 걷어 뭐 할래요? 명세서 끊어주면서, 이게 운동이라.”
하지만 당시 통일국민당의 불법도청에 수사의 초점이 맞춰지면서 김 전 비서실장의 지역감정 조장은 묻히게 됐습니다.

'우리가 남이가'라는 구호가 유행어처럼 퍼지면서 당시 김영삼 후보의 지지 열풍이 거세게 일어났고, 결국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

대선이 끝나고 검찰은 김 전 비서실장을 불구속기소 했지만, 그는 헌법재판소에 위헌 제청을 했습니다. 199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김 전 비서실장에 대한 재판은 공소 취소로 없던 일이 됐습니다.

1996년에는 국회의원으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국회 법사위원장으로 김 전 비서실장은 노 전 대통령의 탄핵에 앞장섰습니다.
■ '아버지'에서 시작해 '딸'에서 끝나다
박정희 정권에서 공직에 발을 들인 김기춘 전 비서실장에게 다시 한번 무소불위의 권력을 준 것은 박근혜 대통령입니다.

2013년, 박 대통령이 한국에너지재단 이사장으로 사실상 정치적 야인이었던 그를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임명한 겁니다.

74세의 나이로 청와대에 입성한 김 전 비서실장은 '왕 실장', '기춘대원군'으로 불렸습니다. 그의 권력을 가늠할 수 있는 별명입니다.

50여 년간의 공직 생활 중 40여 년 동안, '박정희·박근혜 대통령 부녀 보좌'라는 화려한(?) 경력을 가지게 된 김 전 비서실장은 박 대통령 부녀를 '주군'으로 부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영원할 것 같던 김 전 비서실장의 권력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으로 추락하게 됩니다. 김 전 비서실장은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모르쇠'로 일관했습니다.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이 ‘김 전 비서실장의 소개로 최순실 씨를 알게 됐다’고 검찰에 진술한 반면, 김 전 비서실장은 ‘최 씨의 존재 자체를 모른다’고 주장해 야당 의원들로부터 '법꾸라지'(법률 + 미꾸라지)라는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법꾸라지 그래프
'법꾸라지'라는 새로운 별명이 생겼지만, 그는 그렇게 오래 빠져나가지는 못했습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했다는 혐의로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구속된 겁니다.

부산 초원복집 사건으로 불구속기소 된 지 25년 만의 일입니다.

서울 구치소에서 김 전 비서실장은 '김 똘똘이', '미스터 법질서'도 '법의 지배자'도 아닌 '수용자 번호'로 불리게 됐습니다.

(기획·구성 : 김도균, 장아람 / 디자인: 정혜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