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취재파일] 노인의날 ② 고령층 일자리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

'발등의 불' 고령사회

관련 취재파일
우리나라 고령층들은 70년대와 80년대 경제 부흥을 이끈 한강의 기적의 주역들이다. 기술 숙련도가 뛰어나며  부지런한 산업 역군으로서 그들 중 상당수는 아직도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이 은퇴 후 또는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생계를 위해 열악한 일자리에 몰리는 것은 국가적 낭비이며 비극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할 능력도 있고 일할 의지도 충만한 이들에게 어떻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심포지엄과 포럼들이 잇따라 열리고 있다.

<지식협동조합 좋은나라>가 주최한 ‘고령화 사회와 한국경제구조의 변화’라는 심포지엄(9월28일)에서 성균관대 전용일 교수는 “우리나라가 60세 정년제도를 성급하게 도입하면서 정년나이만 늘려놓고 국가나 기업측면에서 이를 뒷받침 할 아무런 틀을 만들어 놓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전교수는 “정년나이가 보장되면서 회사에 낮은 임금으로라도 근무하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오히려 60세 이후 아무런 대책 없이 사회로 쏟아져 나오는 것은 국가 경제적으로도 큰 위기” 라고 밝혔다.  
'고령화 사회와 한국 경제구조의 변화' 심포지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김영생 박사는 “고령층에 대한 일자리는 고령층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 평생교육의 확대가 필수”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청소년층, 장년층 노년층으로 나눠 교육과 노동과 여가로 되어있는 연령 분절적 구조를 교육과 노동 여가를 모두 수평적으로 관리하는 연령 통합적 구조로 국가체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래 표 참조)
[취재파일] 노인의날 ② 고령층 일자리 어떻게 창출할 것인가
김박사는 고령자의 신체적 기능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수 없는 일이지만 지능적인 측면에서는 기능 쇠퇴의 폭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인지적인 측면에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직무에 대한 이해능력 응용능력등은 오히려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 최근 의학계에서 밝혀지고 있다면서 이런 고령자의 특성에 맞춘 교육과 일자리의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9월23일) 열린 <토마토뉴스> 주최의 ‘2016은퇴포럼’에서 서울대 김태유 교수는 “젊은 층과 노년층에게 각각 특화된 일자리를 나누자”고 밝혔다. 젊은 층에게는 생산분야인 가치창출의 분야로, 고령층에게는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이를 지원하는 가치이전의 분야로 일자리를 집중함으로써 개인들이 일자리의 2모작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 국가가 연령별 분업을 구현하는 교육 및 고용관련 정책을 추진하라고 김교수는 촉구했다.

 김교수는 고령자들을 재취업시키면  고령자들의 건강개선 효과도 나타나 의료복지 부담을 줄이고 연금비용을 줄일 수 있어 활동적 고령화개념이 선진국에서 국가경제차원에서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밝혔다.
2016 은퇴전략포럼
고령화 사회가 피할 수 없는 사회적인 추세라면 이 문제를 사회적인 복지수급문제로 풀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일하는 건강한 고령사회로 바꾸는 것이 절실하다고 전문가들은 뜻을 같이 했다. 이와 함께 고령층을 65세 이상으로 일괄적으로 규정할 것이 아니라 일할 수 있는 고령층과 사회적 보호가 절대적인 고령층을 나눠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고령화 사회의 위기를 푸는 열쇠는 오히려 고령자들에게 있으며 이것이 고령사회를 역설적으로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본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최고 품질의 고령층 산업역군들이 가득하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