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마부작침] '광주사태'→'광주항쟁'→'광주 민주화운동'→!?

<전두환 등 신군부는 (1980년 5월) 광주에서의 시위가 자신들의 정국 장악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공수부대를 증파하고, 조속한 진압을 요구한다. 공수부대의 과잉 진압으로 민간인 사망자가 속출하는 과정에서 20일 자정 쯤 공수부대는 시위대를 향해 총을 발사한다. 이에 따라 사망자가 속출하자 시위대는 경찰서와 파출소 등에서 총기를 확보해 무장 저항을 시작한다.>

"내란 목적 살인 등으로 기소된 전두환에게 무기징역을 선고 한다” <1997. 4. 17. 대법원>

5.18은 민주화운동이다. 사법부는 당연한 이 명제를 확인하며, 권력욕을 채우기 위해 시민을 살해한 살인범에게 단죄를 내렸다. 하지만 끝이 아니었다. 그 순간에도 5·18항쟁에 대한 왜곡은 암세포처럼 퍼져나갔다.

‘1980년 5월의 광주’를 왜곡하는 세력이 있다. 이들이 기억하고픈 ‘5.18’은 정당한 국가 권력에 시민이 폭력으로 대항한 ‘폭동’이다. 이들은 ‘보수’라는 외피를 둘렀지만 극우세력으로, 5.18에 북한이 개입됐다고도 주장한다.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맥락(context)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사실(fact) 중 몇 개만 취사 선택해 자신들의 이념틀로 재구성한 뒤 , 다른 사실은 무시하는 전략을 취한다.

시민군의 사진을 보고, 총을 들고 있으니 무장 폭동이라고 주장하는 식이다. 최근엔 5·18에 북한 특수군이 개입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는 등 왜곡의 수준도 심해지고 있다. 1997년과 2002년 5·18 항쟁 관련 법률이 만들어지면서 5·18 항쟁은 항구적으로 존중받아야 할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됐으니 이런 왜곡 시도는 일부 극우세력의 일탈로 규정하고 무시하면 될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올해 5·18 기념재단이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5·18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보면, 5·18이 북한과 연결돼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9.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은 그 비율이 16.3%로 평균의 2배에 달했다. 5·18이 불순 세력이 주도한 폭력 사태였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14.2%로 집계됐는데, 특히 50대와 60대 이상에선 그 수치가 17.5%, 26%로 집계됐다.

5.18항쟁의 진실이 밝혀졌다고 믿는 사이, 그 진실은 누군가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염됐고, 방치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더 이상 진실이 오염되는 걸 막기 위해선 5.18에 대한 왜곡 근원부터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SBS데이터저널리즘팀 <마부작침>은 왜곡 주체, 방식, 과정을 정밀 분석했다.

● 왜곡 근원은 전두환 등 신군부의 '불순 세력 주도설'

5·18 불순분자 주도설, 북한 개입설은 새롭게 제기된 건 아니다. 5·18 항쟁 당시 폭력 진압을 자행한 전두환 씨 등 신군부는 항쟁 당시부터 불순분자 주도설을 퍼뜨려왔다. 당시 계엄사령관이었던 이희성은 담화문에서 “5·18은 고정간첩, 불순분자, 깡패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 거나 “타 지역 불순인물 및 고첩(고정간첩)들이 사태를 극한적인 상태로 유도”하고 있다고 발표해 사실을 호도했다.
하지만, 호응은 없었다. SBS 데이터저널리즘팀 <마부작침>의 5·18 항쟁과 관련된 키워드 사용량을 시기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위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 1987년을 기점으로 시위대의 폭력성에 방점을 찍은 ‘광주사태’라는 표현은 ‘광주항쟁’으로 대체되고, 5·18은 ‘민주화운동’으로 평가되기 시작한다. 1987년 국회 5·18 특위(광주 청문회), 김영삼의 문민정부 출범 이후에 실시된 역사바로세우기와 5.18특별법 제정 등 5·18에 대한 평가가 제도화되면서 ‘광주사태’라는 표현의 거의 사라졌다. 언론이라는 공적 영역에서 5·18 항쟁에 대한 평가는 끝난 듯 했다.

하지만, 2000년 대 이후 새로운 흐름이 나타났다. 2002년을 기점으로 5·18 항쟁을 ‘광주사태’로 규정하거나 이런 주장을 인용한 언론 기사가 증가하기 시작해 하나의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2013년 5·18 항쟁을 ‘광주 폭동’으로 규정한 기사나 그런 주장을 인용한 기사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사보기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박원경 기자 (seagull@sbs.co.kr)
분석: 한창진·안혜민(인턴)
디자인/개발: 임송이

※ 마부작침(磨斧作針) :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방대한 데이터와 정보 속에서 송곳 같은 팩트를 찾는 저널리즘을 지향합니다.

▶ [마부작침] 5·18 왜곡, '극우인사와 일베'의 분업 구조
▶ [마부작침] 보수 위기 때마다 소환되는 5·18 왜곡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